여름 고농도 오존 76% 오후 발생, 이틀에 하루꼴… 발령 일수 급증
여름철(7~8월) 오후 2~6시 고농도 오존(120ppb)이 집중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오존 평균 농도가 높아지고 있고 오존주의보 발령 횟수와 ‘매우 나쁨’ 이상 오존 발령 일수도 매년 증가하고 있다.오존은 일사량이 많을 때 자동차 배기가스나 화력발전소에서 배출하는 매연 등 각종 오염물질과 자외선이 만나 생성된다. 3개의 산소원자로 구성된 강력한 산화제로 만성 호흡질환이나 폐렴, 생체 면역능력 감소 등 인체에 악영향을 미친다.
국내 오존예보 등급은 4단계로 1시간 기준으로 하루 최고 농도가 90ppb를 초과할 때 ‘나쁨’, 150ppb를 초과하면 ‘매우 나쁨’으로 예보된다. 지자체에서는 1시간 기준 오존 측정 농도가 120ppb를 초과할 때 오존주의보를 발령한다.
올해 고농도 오존은 지난해와 유사한 수준으로 전망됐다. 지난 1~7일 전국 측정소의 오존 자료를 분석한 결과 최고 농도가 90ppb를 초과해 나쁨 이상으로 나타난 일수는 6일로 고농도 오존 발생일이 비교적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환경과학원은 여름철 맑고 무더운 오후 시간대에 어린이·노약자·호흡기 질환자 등은 실외활동을 자제하라고 당부했다. 또 승용차 운행 자제와 스프레이·시너 사용 및 드라이클리닝·페인트 도색 억제, 노천 소각 등을 금지하고 있다.
세종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2017-07-12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