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치기 쉬운 휴가철, 습윤밴드 올바른 사용법

다치기 쉬운 휴가철, 습윤밴드 올바른 사용법

김희리 기자
김희리 기자
입력 2017-07-11 18:06
수정 2017-07-11 19:1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상처 난 지 2시간 안에 부착 ○, 매일 교체·연고와 함께 사용 ×

휴가철 산행과 물놀이 등으로 크고 작은 상처가 생기기 쉬운 계절이다. 특히 여름철에는 습한 날씨 때문에 세균 감염으로 상처가 덧날 우려가 있어 더욱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
이미지 확대
‘상처’는 피부조직이 손상된 상태를 의미한다. 상처의 치료 과정은 최초 발생 후 약 3~4일 동안 외부 세균 감염에 취약한 시기인 1단계(염증기), 2~3주 동안 상처 표면에 새살이 채워져 아무는 시기인 2단계(증식기), 새살이 자리를 잡아가는 시기인 3단계(성숙기) 등로 크게 구분된다. 이 과정에서 수분 손실이 일어나 피부 조직이 불규칙적으로 형성될 경우 흉터가 남게 되는 것이다.

최근에는 상처 치료용 연고뿐 아니라 상처의 자연적인 치유 환경을 조성해 흉터를 최소화하는 다양한 습윤밴드가 시중에 나와 있다. 그러나 사용법을 제대로 숙지하지 못할 경우 외려 상처 치료를 지연시키거나 흉터를 남기는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습윤밴드는 상처가 난 지 2시간 안에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일반적으로 상처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통풍이 잘 되도록 해 딱지를 형성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이보다는 공기를 차단해 습윤 환경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처가 나면 우리 몸의 손상된 혈관은 곧바로 수축을 시작해 출혈을 멈춘다. 초기 지혈단계가 지나면 피부 표면에 딱지가 생긴다. 이럴 경우 상처 치유를 위해 몰려든 염증세포들이 딱지 안에 갇혀 피부 재생을 표면이 아닌 피부 속에서 진행하게 되는데, 이때 회복 속도가 느려지고 흉터가 생기기 쉬워진다.

위생을 위해 습윤밴드를 매일 교체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너무 자주 교체를 반복하면 치료를 방해할 수 있다. 습윤밴드가 상처에서 나오는 진물(삼출액)을 흡수하면 하얗게 부풀어 오르는데, 이 상태로 그냥 3~5일 붙여두는 것이 좋다. 하얗게 부풀어 올랐던 곳이 완전히 가라앉으면 밴드를 교체해야 할 때가 된 것이다. 다만 교체 시기가 되지 않았더라도 진물이 밴드 밖으로 새어 나왔을 때는 갈아줘야 한다. 이후 습윤밴드를 교체해도 밴드가 다시 부풀어오르지 않으면 상처가 회복됐는지를 확인하고 밴드를 제거하면 된다.

연고와 함께 사용하면 안 된다. 상처 부위에서 나오는 진물을 흡수하도록 상처와 직접 맞닿는 부분에 거즈가 부착돼 있는 일반 밴드와 달리 습윤밴드는 진물이 유지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게 핵심 원리다. 자연치유 성분인 진물이 연고 역할을 대신하도록 돕는 것이다. 이 때문에 연고를 바르고 습윤밴드를 부착할 경우 이 같은 치유 환경의 균형이 깨지게 된다.

김희리 기자 hitit@seoul.co.kr

2017-07-12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