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살의 나이로 5.18 민주화운동 참가했다 체포됐던 박상옥씨는 당시 광주교도소에 대해 “아우슈비츠 같은 처참함이었다”고 회상했다. 박씨는 광주에 고립된 상황을 타지역에 알리기 위해 빠져나가려다 계엄군에 붙잡혔다.
박상옥씨는 20일 ‘CBS 김현정의 뉴스쇼’에 당시 광주역 광장에서 포박을 당한 뒤 전남대학교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군용 탑차에 실려 포승줄에 일자로 엮어져 구타를 당했다고 증언했다.
그는 “시민들을 탑차 안에 밀어넣고 잠근 후 군인들이 지붕으로 올라와 최루탄을 집어넣고 다시 뚜껑을 닫고 비닐천막을 씌웠다. 그 상태에서 누군가는 밟히고 쓰러졌다”면서 처참했던 상황을 전했다.
‘이 상태로 가면 머지않아 죽겠다’는 생각을 끊임없이 했다는 박씨는 “살이 찢어질 정도로 고통을 느끼며 뒤로 묶여 한밤 중 교도소로 갔다. 너무 매워 눈을 뜰 수 없었고 교도소에 도착했을 땐 차 안에서 질식사한 사람이 두세 명 나와 함께 탄 사람들이 시신 수습을 했다”고 말했다.
박씨는 명령에 따라 짚으로 짠 가마니에 시신을 돌돌 말아 묶어 수습했고, 그 일은 모두 광주교도소 앞마당에서 벌어진 일이라고 밝혔다. 이후 교도소 창고에 수용됐다는 그는 “기름 담는 드럼통을 반으로 갈라 가두고 그곳에 대소변을 보게 했다. 잠도 재우지 않고 군화발로 밟혀 벗고 뛰어다녔다. 아우슈비츠 유태인 수용소보다 더 처참했다”고 떠올렸다.
정부가 공식적으로 인정한 당시 행방불명된 광주 시민들은 82명. 하지만 실제 실종자 수는 정확한 집계가 되지 않는다는 이야기가 설득력을 얻고 있다. 옛 광주교도소 부지는 5.18 당시 실종자들 암매장 장소로 지목이 됐고 곧 발굴 작업에 착수하게 됐다.
박씨는 이 소식을 접하고 “진실은 꼭 밝혀져야 하며 책임자 처벌도 되어야 한다. 그렇게 해서 수많은 희생자들의 넋이 위로가 됐으면, 5.18 민주화운동 그 정신이 헛되지 않았다는 것을 꼭 좀 밝혀졌으면 한다”고 당부했다.
김유민 기자 planet@seoul.co.kr
5·18 당시 숨진 시민들
5·18민주화운동 당시 사라진 사람들의 행방을 찾아 나선 5월 단체가 육군 야전공병단 행적에 주목하고 있다. 1980년 항쟁이 끝나고 암매장 추정 현장에서 굴착기를 봤다는 시민 제보가 나오고 있지만, 중장비를 운용한 야공단 작전기록은 공개된 적 없기 때문이다.
5·18기념재단은 5월 행방불명자 암매장지 발굴을 위해 1980년 당시 광주에 투입됐던 야공단에 대한 기록을 찾고 있다고 20일 전했다.
5·18기념재단 제공=연합뉴스
5·18기념재단은 5월 행방불명자 암매장지 발굴을 위해 1980년 당시 광주에 투입됐던 야공단에 대한 기록을 찾고 있다고 20일 전했다.
5·18기념재단 제공=연합뉴스
그는 “시민들을 탑차 안에 밀어넣고 잠근 후 군인들이 지붕으로 올라와 최루탄을 집어넣고 다시 뚜껑을 닫고 비닐천막을 씌웠다. 그 상태에서 누군가는 밟히고 쓰러졌다”면서 처참했던 상황을 전했다.
‘이 상태로 가면 머지않아 죽겠다’는 생각을 끊임없이 했다는 박씨는 “살이 찢어질 정도로 고통을 느끼며 뒤로 묶여 한밤 중 교도소로 갔다. 너무 매워 눈을 뜰 수 없었고 교도소에 도착했을 땐 차 안에서 질식사한 사람이 두세 명 나와 함께 탄 사람들이 시신 수습을 했다”고 말했다.
박씨는 명령에 따라 짚으로 짠 가마니에 시신을 돌돌 말아 묶어 수습했고, 그 일은 모두 광주교도소 앞마당에서 벌어진 일이라고 밝혔다. 이후 교도소 창고에 수용됐다는 그는 “기름 담는 드럼통을 반으로 갈라 가두고 그곳에 대소변을 보게 했다. 잠도 재우지 않고 군화발로 밟혀 벗고 뛰어다녔다. 아우슈비츠 유태인 수용소보다 더 처참했다”고 떠올렸다.
정부가 공식적으로 인정한 당시 행방불명된 광주 시민들은 82명. 하지만 실제 실종자 수는 정확한 집계가 되지 않는다는 이야기가 설득력을 얻고 있다. 옛 광주교도소 부지는 5.18 당시 실종자들 암매장 장소로 지목이 됐고 곧 발굴 작업에 착수하게 됐다.
박씨는 이 소식을 접하고 “진실은 꼭 밝혀져야 하며 책임자 처벌도 되어야 한다. 그렇게 해서 수많은 희생자들의 넋이 위로가 됐으면, 5.18 민주화운동 그 정신이 헛되지 않았다는 것을 꼭 좀 밝혀졌으면 한다”고 당부했다.
김유민 기자 planet@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