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암과 같은 ‘다솔’ 소속 오리농장
고병원성 여부는 2~3일 걸릴 듯전북 다솔 농장 24시간 이동중지
천안 야생조류 분변서도 AI 검출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7/12/22/SSI_20171222174834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7/12/22/SSI_20171222174834.jpg)
농림축산식품부는 전북 정읍에서 2만 9000마리의 육용오리를 키우는 농장에서 H5N6형 AI 항원이 검출됐다고 22일 밝혔다. 고병원성 여부는 2~3일 뒤 확인될 예정이다. 이 농장은 지난 19일 고병원성 H5N6형 AI가 발생한 전남 영암 육용오리 농장과 마찬가지로 오리 수직계열화 사업체인 ‘다솔’(다향오리)에 속한 농장이다. 계열 소속 농가는 업체로부터 새끼 오리, 사료, 시설 등을 지원받고 오리를 출하할 때 수수료를 받는다. 계열사에 소속된 농장에는 같은 사료 차량 등이 드나들기 때문에 AI가 번질 우려가 크다.
이에 따라 농식품부는 전북 및 전국 다솔 계열 농장, 도축장 등에 대해 이날 오후 2시부터 24시간 동안 일시 이동중지 명령을 내렸다. 적용 대상은 전북의 가금 농장 6421곳, 축산차량 5523대 등과 다솔 계열 농장 235곳(전남 167, 전북 60) 등 약 1만 2000곳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계열업체인 다솔과 소속농가가 방역수칙을 제대로 지켰는지 점검해 위반사항이 적발되면 제재할 계획”이라면서 “다솔 소속 농장들이 도축장에 출하한 오리에 대해 AI 검사 비율을 기존 10%에서 30%로 높였다”고 말했다.
사상 최악의 AI 피해를 냈던 지난해에 비해 올겨울 농장에서 AI가 발생한 건수는 4건으로 적은 편이지만 발생 주기가 점점 짧아지고 있어 방역당국은 긴장을 늦추지 않고 있다. 지난달 18일 전북 고창에서 첫 고병원성 AI가 확진된 뒤 약 22일 뒤인 지난 10일 전남 영암 종오리 농가에서 같은 종류의 AI가 확인됐다. 이어 19일(영암)과 22일(정읍)에 잇달아 AI가 발생해 간격이 점차 줄고 있다. 강추위로 AI 바이러스가 번식하기 쉬운 환경이 조성된 데다 AI 바이러스를 옮기는 겨울 철새가 한반도에 본격 상륙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한편 농식품부는 지난 19일 충남 천안 풍서천에서 채취한 야생조류 분변에서도 H5N6형 AI 검출이 확인돼 고병원성 검사를 하고 있다고 이날 밝혔다. 농식품부는 풍서천의 AI 검출 반경 10㎞를 ‘야생조수류 예찰지역’으로 설정해 21일 동안 해당지역의 가금 및 사육조류에 대해 이동 통제와 소독을 실시한다는 방침이다.
세종 오달란 기자 dallan@seoul.co.kr
2017-12-23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