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라진 남북 일상어…괜찮다=일없다, 데이트=산보, 새언니=오레미, 형부=아저씨

달라진 남북 일상어…괜찮다=일없다, 데이트=산보, 새언니=오레미, 형부=아저씨

이경우 기자
입력 2018-04-25 22:24
업데이트 2018-04-26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남: 커피 드실래요?

북: 일없습니다.(‘사양’의 뜻)

남: 여기서 담배를 피워도 되나요?

북: 일없습니다.(‘괜찮다’는 뜻)

맞춤법 규정만 달라진 게 아니다. 일상의 남북 언어에도 차이가 생겼다. 못 알아듣거나 오해를 할 수도 있다. ‘일없다’는 북한으로 가면 ‘가벼운 사양’의 뜻이 되거나 ‘괜찮다’는 말이 된다. ‘오징어’도 북한에서는 ‘낙지’로 불린다.

국립국어원이 최근 이런 차이를 비교한 자료집 ‘남에서는 이런 말, 북에서는 저런 뜻’을 내놨다. 남한에서 자연스럽게 받아들인 외래어지만, 북쪽에서는 우리말로 많이 바꾸려 한 것도 눈에 띈다. ‘다이어트’는 ‘살까기’, ‘휴대폰’은 ‘손전화(기)’, ‘와이퍼’는 ‘비물닦개’, ‘데이트하다’는 ‘산보하다’라고 한다.

극장은 남한에서 주로 영화를 상영하는 곳이지만, 북한에서는 ‘연극, 음악, 춤’ 등을 공연하는 곳이 된다. 영화를 상영하는 곳은 따로 ‘영화관’이라고 한다. ‘늙은이’가 남한에선 낮추는 말이지만, 북한에서는 낮춤의 뜻이 없고 중립적으로 쓰인다. ‘바쁘다’는 ‘힘들다’는 뜻도 더해져 쓰인다. “공부하기가 바쁘다”는 ‘바쁜’ 게 아니다.

무언가를 권할 때 쓰는 ‘-ㅂ시다’에도 차이가 있다. 남한에서 ‘-ㅂ시다’는 나보다 나이가 많거나 직위가 높은 사람에게는 쓰지 않는다. 그러나 북한에서는 “아버지, 집에 갑시다”, “선생님, 식사합시다”처럼 나보다 높은 사람에게도 사용한다. 북한의 ‘-ㅂ시다’는 남한의 ‘-시죠’, ‘-실까요’ 정도에 해당한다.

오랜만에 만나는 사람에게 북한에서는 “그새 앓지 않았습니까”라고 인사를 건네기도 한다. “오래오래 앉아 계십시오”는 장수를 기원하는 인사말이다.

친족 간 호칭도 다르다. 오빠의 아내를 부를 때 남한에서는 ‘새언니’지만, 북한에서는 ‘형님/오레미’다. 남편의 남동생은 북한에서 ‘적은이/삼촌’이다. 언니의 남편은 ‘형부’가 아니라 ‘아저씨’라고 한다. ‘큰아버지’는 의미가 넓어졌다. ‘아버지의 형’뿐만 아니라 ‘큰아버지 연배의 지인’(친족이 아닌 사람)도 ‘큰아버지’라고 부른다. ‘큰아버지의 아내’뿐만 아니라 ‘큰이모’나 ‘큰어머니 연배의 지인’도 ‘큰어머니’가 된다.

이경우 기자 wlee@seoul.co.kr
2018-04-26 1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