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 지킨 50년… ‘참여정부 인권위원장’ 최영도 변호사 별세

인권 지킨 50년… ‘참여정부 인권위원장’ 최영도 변호사 별세

이하영 기자
이하영 기자
입력 2018-06-10 22:50
업데이트 2018-06-11 09: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참여정부에서 국가인권위원장을 지낸 원로 법조인 최영도 변호사가 지난 9일 별세했다. 80세.
최영도 변호사. 연합뉴스
최영도 변호사.
연합뉴스
최 변호사는 50여년을 인권 변호사로 활동했다. 1992년 대한변호사협회 인권이사 겸 인권위원장을 역임했고, 1995년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민변) 회장으로 선출됐다. 민변 회장으로 활동하며 양심수 석방과 한총련 수배자 해제 등 인권 보호 활동을 벌였다. 2001년 국가인권위원회 출범을 주도했으며, 2004년 제2대 국가인권위원장에 임명됐다.

문재인 대통령은 10일 페이스북에 “최영도 변호사님의 별세 소식을 듣고 빈소를 찾아뵙지 못하는 안타까움에 글을 올린다”면서 “선배님은 엄혹했던 독재정권 시대 1세대 인권변호사로서 후배들에게 변호사가 걸어 갈 길을 보여 주는 표상이셨다”고 적으며 조의를 표했다.

이어 “좋은 법률가를 뛰어넘는 훌륭한 인격을 저도 본받고 싶었지만 도저히 따라갈 수 없는 경지였다”면서 “참여정부에서는 국가인권위원장을 역임하셨는데, 그것이 그분께 큰 고통을 안겨 드렸던 것이 제게는 큰 송구함으로 남아 있기도 하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또 “제가 선배님을 더욱 닮고 싶었고 존경했던 것은 클래식 음악과 미술에 대한 깊은 소양과 안목이었다. 특히 전통 불교 미술에 대한 조예는 전문가 수준이었다”면서 “선배님은 평생 수집하신 원삼국시대, 통일신라, 고려·조선시대의 문화재급 토기 1500여점을 십수년 전에 국립중앙박물관에 기증해 우리 토기 문화의 흐름을 한눈에 볼 수 있는 귀중한 연구 자료를 사회에 남겨 주셨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 문화재가 국외로 유출되는 것이 너무 안타까워 변호사를 하며 번 돈을 모두 거기에 쓰셨다니, 우리 전통문화에 대한 사랑에 절로 고개가 숙여진다”고 덧붙였다.

유족은 효상·윤상·현상씨 3남. 빈소는 서울아산병원, 발인은 12일 오전 7시 30분, 장지 충남 천안공원. (02)3010-2000.

이하영 기자 hiyoung@seoul.co.kr
2018-06-11 24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