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세의(왼쪽) 전 MBC 기자와 과거 김 전 기자가 리포트에 동원한 윤서인 만화가. MBC 캡처
MBC 정상화위원회는 지난 1일 “김 전 기자는 실제 취재 현장에서 확보되지 않은 정체불명의 음성을 가져와 방송 화면 속 인물이 말한 것처럼 조작했다”면서 “매장 고객으로 나온 사람은 고객으로 위장한 직원이었다”고 밝혔다.
지난 1월 22일 출범한 위원회는 노사가 공동으로 만든 기구로, 지난 2008년 2월부터 지난해 11월까지 일어났던 방송 독립성 침해, 사실의 은폐·왜곡, 부당한 업무지시 혹은 청탁 등의 사규 위반 행위 등을 조사하고 있다.
위원회가 확인한 문제의 리포트는 총 5건으로, 2011년부터 2016년 사이 제작됐다. 리포트에 나오는 인터뷰 13개 중 7개를 조작으로 파악했다.
위원회에 따르면 김 전 기자는 2011년 10월 백팩을 멘 배낭족이 늘어 지하철을 이용하기 불편해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불편을 호소하는 승객의 목소리가 익명으로 삽입됐는데, 이 목소리의 주인공은 지하철 승객이 아니라 당시 김 전 기자가 타고 나간 회사 취재차의 기사였다.
앞서 위원회가 지적한 ‘고객으로 위장한 직원’이 등장하는 리포트는 2015년 9월에 보도됐다. 당시 추석선물세트 가격이 천차만별이라고 지적하는 리포트에서 각각 대형마트와 백화점 고객으로 등장한 2명은 해당 업체 직원이었다.
위원회는 “사내 영상시스템에 보관된 영상 원본을 확인하고 당일 현장 취재를 한 스태프의 증언을 청취한 결과, 직원을 동원해 고객을 가장한 연출 촬영임이 드러났다”고 밝혔다.
김 전 기자가 2016년 5월에 보도한, 대형마트 ‘갑질’을 다룬 리포트에서는 입점업체 직원이 자사 제품 뿐 아니라 타사 제품까지 떠맡아 정리하고 있는 것처럼 묘사한 영상이 나왔다. 하지만 영상 속 입점업체 직원은 자사 제품을 정리하는 중이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위원회는“영상 설명에 이어 등장하는 납품업체 직원 인터뷰는 당일 현장에서 확보되지 않은 것으로 김 전 기자가 어디선가 녹음해와 리포트에 삽입한 정체불명의 인터뷰”라고 했다.
위원회는 또 “지인을 동원한 주문형 인터뷰는 확인된 것만 10여건”이라면서 “지인 인터뷰는 기사의 왜곡을 불러올 수 있어 엄격한 조건 하에 제한적으로 허용되어야 하지만, 해당 기자는 취재 편의를 위해 지인 인터뷰를 남발해 뉴스의 신뢰도를 하락시켰다”고 말했다.
김 전 기자는 지난 8월 1일 MBC에 사직서를 낸 뒤 강용석 변호사와 함께 보수 성향의 ‘가로세로연구소’를 운영 중이다.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