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년 병원 봉사 할머니 “75세 정년 채우고 싶어요”

27년 병원 봉사 할머니 “75세 정년 채우고 싶어요”

정현용 기자
정현용 기자
입력 2018-12-05 07:20
업데이트 2018-12-05 07: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최혜란 할머니 “혼자 사는 세상 없어”

이미지 확대
최혜란 할머니
최혜란 할머니
27년. 강산이 세 번 바뀔 동안 최혜란(66) 할머니는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 세브란스병원에서 환자들이 쓰는 수건을 접었다. 매주 금요일 오후 1시부터 4시까지 하루 3시간, 거의 매일 5분 일찍 도착해 묵묵히 일했다. 화요일에는 같은 시간 병원 본관에서 길을 묻는 방문객을 안내하는 역할도 한다. 수만명이 그의 도움을 받았다. 놀라운 사실은 그가 다리가 불편해 휠체어를 이용해야 하는 지체장애 2급 장애인이라는 점이다.

최 할머니는 4일 “내가 좋아서 하는 일이니 오히려 내가 병원의 도움을 받고 있는 것”이라며 “자원봉사자 정년인 75세까지 일하고 싶다”고 말했다.

최 할머니처럼 장애를 갖고도 이 병원에서 자원봉사를 하는 ‘숨은 천사’가 7명이나 된다. 병원이 의료사회사업을 운영한 지난 60년 동안 75세 봉사 정년을 마친 이들도 여럿 있다고 했다. 그도 30여년 전 우연히 가족의 지인이 세브란스병원에서 수건 접는 일을 하는 것을 본 뒤 “나도 저 정도 일이면 할 수 있겠다”고 생각해 봉사하는 재미에 빠졌다고 했다.

최 할머니도 20대 초반까지는 여느 장애인처럼 집 밖조차 제대로 나서질 못했다. 3살에 소아마비를 앓은 뒤 “세상에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있을까”라고 삶을 비관했다. 그러다 40년 전 국내 최초의 장애인 여의사이자 한국소아마비협회 정립회관 관장이었던 황연대(80) 여사가 “종이 한 장이라도 들 수 있으면 그것이 봉사”라고 한 강연을 듣고 타인을 위한 삶을 결심했다.

그래서 30대 후반부터 틈틈이 일주일에 3일, 오전과 오후 3시간씩 세브란스병원에서 수건 접기와 안내 봉사활동을 했다. 최 할머니는 “요즘엔 체력이 되지 않아 오랜 시간 일하진 못한다”며 “2005년 병원 본관을 신축해 정신없이 바빴을 때가 가장 행복했다”고 했다. 병원은 봉사 시간이 1500시간을 넘었을 때 그에게 감사 배지를 증정했다. 그러고도 그는 1000시간을 더 넘겼다.

그는 봉사에 대해 “노는 것”이라고 표현했다. 최 할머니는 “집에서 벽 보고 있는 것보다 훨씬 의미 있는 삶이니 즐거운 것 아니냐”며 “전화 상담이나 장애인 복지관에서 아이들 밥 먹여주는 일처럼 장애인이라도 남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이 얼마든지 있다”고 말했다. 남을 돕기 위해 필요한 것이 무엇이냐는 물음에 그는 “나를 사랑하는 마음만 있으면 된다”며 “혼자 사는 세상은 없다. 나도 주변에서 도움받은 것을 돌려주는 것일 뿐”이라고 밝게 웃었다.

글·사진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