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학교 공기정화장치 설치 비율 평균 58%
강당·체육관 설치 비율도 지역별 큰 격차
“교실 내 먼지 수준 따라 집중도 갈려”
전국적으로 미세먼지의 습격이 계속되는 가운데 학교 내 공기정화장치 설치나 체육관 유무가 지역별로 확연히 차이 나는 것으로 드러났다
더불어민주당 이상민 의원실에 따르면 공기정화장치 설치 비율은 전국 평균 58% 수준이다. 그러나 지역별로 보면 대전·세종·충남은 공기정화장치가 모든 학급에 100% 설치된 반면 대구·울산·경기·전북·경북의 학교에는 절반 이상 학급에 공기정화장치가 설치되지 않았다. 조사 대상이 된 공기정화장치에는 공기청정기, 기계환기 시설, 창문에 달린 필터링 기계 등이 모두 포함됐다.
초등학교만 떼놓고 보면 공기정화장치 설치 유무의 지역별 차이는 더 극명하다. 부산·인천·대전·세종·강원·충북·충남·전남·경남·제주의 초등학교의 전 학급에 공기정화장치가 설치됐지만 나머지 지역에선 절반 이상 설치되지 않은 곳도 많았다. 초등학교 학급에 에 공기정화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비율은 ▲전북 70.15% ▲울산 64.31% ▲경북 64.27% ▲대구 61.26% ▲경기 52.26% ▲광주 42.42% 순으로 높았다. 나이가 어릴수록 호흡기 발육이 미숙해 기관지의 자정작용이 떨어지기 때문에 초등학생들은 미세먼지에 더 민감할 수밖에 없다.
또, 전국의 학교 1만 1817곳 중 강당·체육관을 가진 학교는 9337개교로 조사됐다. 80% 정도의 학교가 실내 체육시설을 갖춘 셈이지만 5개 학교 중 1곳의 학생들은 강당·체육관이 없어 미세먼지가 심한 날 체육활동이 어렵다는 얘기이기도 하다. 강당·체육관을 가진 학교 비율은 세종·울산·광주가 90%대로 높았고 경북·충북·부산이 60~70%대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지역별로 공기정화 장치 및 강당·체육관 설치 비율이 다른 이유는 예산 탓인 것으로 추정된다. 교육부가 2020년 말까지 모든 유치원·초등학교·특수학교에 공기정화장치를 설치하기로 했지만 미세먼지 대응 공기정화장치 설치를 위한 별도 예산은 지급되지 않는다. 각자 교육청에서 자체 예산을 마련해서 진행해야 하지만 각 교육청의 재정자립도에 따라 투자할 수 있는 여력에 차이가 있다.
조승연 연세대 환경공학과 교수는 “교실 내 산소 농도나 먼지 수준에 따라 아이들 집중도가 달라질 수 있다” 면서 “학교 내 환기 시설 및 공기 정화장치로 교실에 신선 공기를 유입해주고 관리도 주기적으로 잘 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야외 체육활동에 대해서도 “아예 일상 활동을 안 할 수는 없으니 실내에서라도 지침에 따라 활동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고혜지 기자 hjko@seoul.co.kr
강당·체육관 설치 비율도 지역별 큰 격차
“교실 내 먼지 수준 따라 집중도 갈려”
‘최악의 미세먼지’…탈출할 곳이 없다
평소 미세먼지 청정지역으로 알려졌던 강원 동해안마저 5일 최악의 미세먼지에 포위돼 있다. 지난 1월 17일 촬영한 왼쪽 사진에서는 대관령 자락이 보이지만 5일 오전은 강릉시내 아파트 뒷산마저 보이지 않는다. 2019.3.5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이상민 의원실에 따르면 공기정화장치 설치 비율은 전국 평균 58% 수준이다. 그러나 지역별로 보면 대전·세종·충남은 공기정화장치가 모든 학급에 100% 설치된 반면 대구·울산·경기·전북·경북의 학교에는 절반 이상 학급에 공기정화장치가 설치되지 않았다. 조사 대상이 된 공기정화장치에는 공기청정기, 기계환기 시설, 창문에 달린 필터링 기계 등이 모두 포함됐다.
초등학교만 떼놓고 보면 공기정화장치 설치 유무의 지역별 차이는 더 극명하다. 부산·인천·대전·세종·강원·충북·충남·전남·경남·제주의 초등학교의 전 학급에 공기정화장치가 설치됐지만 나머지 지역에선 절반 이상 설치되지 않은 곳도 많았다. 초등학교 학급에 에 공기정화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비율은 ▲전북 70.15% ▲울산 64.31% ▲경북 64.27% ▲대구 61.26% ▲경기 52.26% ▲광주 42.42% 순으로 높았다. 나이가 어릴수록 호흡기 발육이 미숙해 기관지의 자정작용이 떨어지기 때문에 초등학생들은 미세먼지에 더 민감할 수밖에 없다.
또, 전국의 학교 1만 1817곳 중 강당·체육관을 가진 학교는 9337개교로 조사됐다. 80% 정도의 학교가 실내 체육시설을 갖춘 셈이지만 5개 학교 중 1곳의 학생들은 강당·체육관이 없어 미세먼지가 심한 날 체육활동이 어렵다는 얘기이기도 하다. 강당·체육관을 가진 학교 비율은 세종·울산·광주가 90%대로 높았고 경북·충북·부산이 60~70%대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지역별로 공기정화 장치 및 강당·체육관 설치 비율이 다른 이유는 예산 탓인 것으로 추정된다. 교육부가 2020년 말까지 모든 유치원·초등학교·특수학교에 공기정화장치를 설치하기로 했지만 미세먼지 대응 공기정화장치 설치를 위한 별도 예산은 지급되지 않는다. 각자 교육청에서 자체 예산을 마련해서 진행해야 하지만 각 교육청의 재정자립도에 따라 투자할 수 있는 여력에 차이가 있다.
조승연 연세대 환경공학과 교수는 “교실 내 산소 농도나 먼지 수준에 따라 아이들 집중도가 달라질 수 있다” 면서 “학교 내 환기 시설 및 공기 정화장치로 교실에 신선 공기를 유입해주고 관리도 주기적으로 잘 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야외 체육활동에 대해서도 “아예 일상 활동을 안 할 수는 없으니 실내에서라도 지침에 따라 활동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고혜지 기자 hjk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