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로 암 억제 마이크로 RNA 발굴

빅데이터로 암 억제 마이크로 RNA 발굴

박정훈 기자
박정훈 기자
입력 2019-03-17 12:21
업데이트 2019-03-17 12: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UNIST 연구진 성과, 옥스퍼드대 출판사 ‘뉴클레익 에시드 리서치’ 온라인판 실려

울산과학기술원(UNIST) 남덕우 생명과학부 교수팀이 빅데이터 분석으로 암을 억제하는 마이크로 RNA(Ribonucleic acid·리보핵산)와 이와 관련된 세포 신호조절 경로를 발굴했다고 17일 밝혔다. 마이크로 RNA는 19∼23개 정도의 짧은 염기로 이뤄진 RNA 분자다. 여러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데, 이를 통해 다양한 세포 활동이나 암·당뇨 등 만성질환에 핵심 역할을 한다.

연구진은 15년 이상 누적된 유전자 발현 공공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는 새로운 분석 전략을 개발했다. 이 데이터베이스에서 각종 질병, 조직 특성, 세포 분화, 약물 처리 등 다양한 세포 조건에 따른 5000여개 데이터 세트를 가공해 빅데이터를 수집했다. 또 마이크로 RNA 염기서열에 기반을 둔 타깃 유전자 집단의 정보를 함께 분석, 459개의 ‘인간 마이크로 RNA에 의한 조절 네트워크’를 예측하는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을 구축했다.

남 교수는 “유전자 발현 빅데이터에 양방향 군집화 분석법을 적용하면 줄기세포나 특정 질병 등 다양한 세포 조건에서 일어나는 마이크로 RNA 조절 네트워크를 더 정확하게 발굴할 수 있다”며 “가령 유방암이 어떤 유전자들의 발현과 연결됐고, 이들 유전자를 억제하는 마이크로 RNA가 무엇인지 예측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실제로 유방암 발달에 중요한 신호전달 경로를 적은 수의 마이크로 RNA들이 억제할 수 있다는 점을 실험으로 확인했다. 이번 연구는 영국 옥스퍼드대학 출판사에서 발행하는 생물학 저널 ‘뉴클레익 에시드 리서치‘ 온라인판에 실렸다.

울산 박정훈 기자 jhp@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