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18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 실태조사‘ 보고서를 보면, 20∼44세 미혼남녀 2464명(남 1140명, 여 1324명)을 대상으로 한 혼인에 대한 태도 조사에서 이러한 결과가 나왔다.
결혼식 필요성 정도에 대한 견해 조사에서 미혼 남성 중 ‘결혼식을 반드시 해야 한다’는 의견에 ‘전적으로 찬성’한다는 응답은 14.5%였고, ‘대체로 찬성’한다는 응답은 44.2%였다.
미혼 남성의 적극 찬성 비율은 연령별로 보면 20∼24세 14.5%, 25∼29세 16.8%, 30∼34세 15.1%, 35∼39세 13.5%, 40∼44세 7.7% 등이었다.
학력별로는 고졸 이하 15.6%, 대학 재학 14.6%, 대졸 이상 13.7% 등이었고, 취업 별로는 취업 14.0%, 비취업 15.2%였다.
미혼 여성은 ‘전적으로 찬성’한다는 응답이 남성보다 낮은 10.8%, ‘대체로 찬성’한다는 의견이 34.4%였다.
미혼여성의 적극 찬성비율을 연령별로 보면, 20∼24세 11.4%, 25∼29세 12.2%, 30∼34세 11.1%, 35∼39세 5.5%, 40∼44세 9.5% 등이었다.
학력별로는 고졸 이하 9.9%, 대학 재학 10.5% 대졸 이상 11.1% 등이었고, 취업 별로는 취업 10.9%, 비취업 10.5% 등이었다.
미혼 남녀 모두 전반적인 찬성 응답은 절반 가까이 나왔지만, ‘반드시 해야 한다’는 적극 찬성은 10%대로 매우 낮은 비율을 나타냈다.
연구팀은 혼인과 관련된 형식의 중요성이 낮아지고, 자신의 판단과 결정을 더 중요시하는 추세가 강하게 형성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응답자의 연령별, 교육수준별, 취업별 등과 같은 특성에 상관없이 적극 찬성 응답에서 비슷한 성향을 보였다는 점에서 결혼에서 기존의 전통적 가치 규범보다는 자신의 주관적 선택을 더 강조하는 경향이 매우 광범위하게 퍼져 있음을 시사한다고 연구팀은 해석했다.
신진호 기자 sayh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