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이트 크리스마스 기대해도 될까…서울서 3년에 1번꼴

화이트 크리스마스 기대해도 될까…서울서 3년에 1번꼴

김태이 기자
입력 2019-12-14 10:58
업데이트 2019-12-14 10: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올해 성탄절 주간 기온 높아”…눈 보기 어려울 듯

올해도 성탄절에는 눈 소식이 없어 ‘화이트 크리스마스’는 어려울 것이라는 예보가 나왔다.
올해도 성탄절에는 눈 소식이 없어 ‘화이트 크리스마스’는 어려울 것이라는 예보가 나왔다.
해마다 크리스마스가 다가오면 눈이 내리는 ‘화이트 크리스마스’를 기대하는 목소리가 커진다.

눈 특유의 포근하고 하얀 이미지가 설레는 크리스마스 분위기를 더해주기 때문이다.

그러나 실제 서울에서 화이트 크리스마스는 그렇게 자주 있는 일은 아니었다.

14일 기상청에 따르면 1981년부터 지난해까지 38번 크리스마스 중 서울에 눈이 온 해는 모두 12번으로, 화이트 크리스마스 비율은 31.6%로 나타났다.

하지만 적설량을 기록하지 못한 해도 있어 화이트 크리스마스 체감 비율은 더 낮은 것으로 보인다.

서울에서 크리스마스에 눈이 가장 많이 온 해는 2.1㎝ 적설량을 기록한 1990년이었고 그다음이 2000년 1.8㎝, 2012년 1.5㎝, 2002년 1.2㎝ 순이었다.

1985년(0.1㎝), 2005년(0.7㎝), 2009년(0.4㎝), 2015년(0.2㎝)은 적설량이 1㎝ 미만을 기록했고, 1991년, 1999년, 2001년, 2008년처럼 눈은 관측됐으나 진눈깨비 형태로 오거나 아주 적은 양만 내려 적설량이 ‘제로’인 해도 있었다.

크리스마스이브인 12월 24일에도 상황은 비슷하다. 1981년∼2018년 크리스마스이브에는 서울에서 11번 눈이 관측됐다. 확률로 따지면 28.9%다.

그나마 과거 크리스마스이브에는 눈이 제법 쌓인 적도 있었다.

1983년 이브 적설량은 8.8㎝, 1989년과 1999년에는 각각 4.9㎝, 5.0㎝ 적설량을 기록했다.

그러나 나머지 1982년, 1985년, 1995년, 2000년, 2001년, 2002년, 2011년, 2012년에는 모두 1㎝ 미만의 눈이 쌓이는 데 그쳤다.

가장 최근에 크리스마스 당일이나 이브에 눈이 내린 것은 4년 전인 2015년이다. 당시에는 12월 25일 밤늦게 눈이 내리기 시작해 아슬아슬하게 화이트 크리스마스가 됐다.

눈보다 자주 내리지 않았으나 비가 온 적도 있다.

1981년부터 지난해까지 서울에는 크리스마스이브에 6번, 당일에 5번 비가 왔다. 비율로 따지면 각각 15.8%, 13.2%다.

가장 최근에는 2017년 크리스마스이브에 눈 대신 비가 20㎜가량 내렸다.

올해 크리스마스 눈 소식은 아직 미지수다.

다만 기상청 장기예보에 따르면 크리스마스가 낀 이달 23∼29일 평균 기온은 평년(-0.8∼1.4도)과 비슷하거나 높고, 강수량은 평년(1.0∼2.8㎜)과 비슷하거나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기상청 관계자는 “장기 예보라 변동 가능성이 있긴 하지만 서울은 크리스마스 주간에 기온이 높아 눈이 올 가능성은 작다”며 “강수가 있을 경우 확률로 볼 때 눈보다는 비로 올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