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 딸, KIST 인턴 때 엎드려 잠만 자다 사흘 만에 중단해”

“조국 딸, KIST 인턴 때 엎드려 잠만 자다 사흘 만에 중단해”

곽혜진 기자
입력 2020-03-18 17:37
업데이트 2020-03-18 17: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병화 KIST 전 센터장, 정경심 교수 재판서 증언

이미지 확대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연합뉴스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연합뉴스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의 딸이 한국과학기술원(KIST)에서 인턴 활동을 할 당시 불성실한 태도를 보였다는 법정 증언이 나왔다.

KIST 분자인식연구센터장을 지낸 정병화 교수는 18일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2부(임정엽 권성수 김선희 부장판사) 심리로 열린 정경심 동양대 교수의 속행 공판에서 이같이 증언했다.

앞서 검찰은 조 전 장관의 아내인 정경심 교수가 2013년 딸 조모씨의 KIST 인턴 경력을 허위로 꾸몄다고 보고 기소했다. 2011년 7월 조씨가 실제 인턴십에 참여한 기간은 2∼3일에 불과했지만, 정 교수가 이광렬 전 KIST 소장에게 부탁해 3주간 참여했다고 부풀린 확인서를 받은 것으로 검찰은 의심하고 있다.

또 인턴 확인서를 조씨의 의학전문대학원 입시에 활용하기 위해 참여 시간을 ‘주 5일, 일 8시간 근무, 총 120시간’ 등으로 부풀려 기재하고, 인턴 기간 ‘성실하게 참여했다’는 등 사실과 어긋난 설명이 들어가도록 확인서를 썼다고 봤다.

당시 연구센터의 책임자였던 정병화 교수는 정경심 교수의 동창인 이광렬 전 소장을 통해 조씨의 인턴 참여 의사를 전해 듣고서 수락했다고 증언했다. 그는 연구실 출입기록에 의하면 조씨는 7월 20일 첫 출근을 했고, 22일 오전 마지막으로 나온 것으로 보인다고 진술했다.

특히 조씨가 서울대 의전원에 제출한 KIST의 인턴 확인서에 대해 자신이 작성해 준 적이 없으며 이광렬 전 소장에게 작성해도 된다고 허락한 적도 없다고 증언했다. 따라서 해당 확인서에 나오는 근무시간, 성실성 평가 등 내용도 사실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이미지 확대
조국 전 법무부장관의 배우자 정경심 동양대 교수가 23일 오후 서울 서초동 서울중앙지법에서 영장실질심사를 마치고 나서고 있다.검찰은 자녀 입시 비리와 사모펀드, 증거인멸 의혹과 관련, 정 교수에게 11개 혐의를 적용해 구속영장을 청구했다.2019.10.23 뉴스1
조국 전 법무부장관의 배우자 정경심 동양대 교수가 23일 오후 서울 서초동 서울중앙지법에서 영장실질심사를 마치고 나서고 있다.검찰은 자녀 입시 비리와 사모펀드, 증거인멸 의혹과 관련, 정 교수에게 11개 혐의를 적용해 구속영장을 청구했다.2019.10.23 뉴스1
그는 조씨에 대해 “너무 잠깐 왔다 간 학생이라 특별한 기억은 없다”고 언급하며 “일반적으로 학부생들이 인턴을 오면 논문을 읽어보도록 하거나 실험도구 설거지하는 법 등을 알려주고 박사과정 연구원 등에게 잘 가르쳐 달라고 부탁한다”고 설명했다.

정병화 교수는 당시 조씨가 이틀 반 만에 활동을 중단한 이유를 직원들에게 물어보자, ‘학생이 좀 그렇다, 엎드려서 잠만 자더라’는 등의 이야기를 들었다고 말했다. 이어 “그래서 더는 할 말이 없었고, 학생에 대해 알아볼 생각도 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또 정경심 교수와 조씨가 검찰 수사를 받으며 내놓은 주장에 대해서도 반박했다. 조씨가 인턴십을 하며 영어로 된 논문 번역을 했다는 주장에 대해 “번역이라기보다는, 관련 영어 논문을 읽으라고 준 것”이라며 “아무리 (간단한) 실험도구 세척을 하더라도 무슨 실험인지는 알아야 하므로 공부하라는 뜻”이라고 밝혔다.

조씨는 인턴 활동을 하면서 연구원들 사이에 분란이 생겼으며 한 연구원이 “여의치 않아 챙겨줄 수가 없다”고 자신에게 말해 그만뒀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서도 정병화 교수는 “어떻게 실험실원이 나오지 말라고 했다는 것을 안 나오는 이유로 삼았다는 건지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

곽혜진 기자 demian@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