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상강의 괜찮을까”…‘n번방’ 사태에 학생들 웹캠 불안감

“화상강의 괜찮을까”…‘n번방’ 사태에 학생들 웹캠 불안감

김태이 기자
입력 2020-04-08 09:37
업데이트 2020-04-08 09: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n번방’ 운영자 ‘와치맨’, 과거 IP 카메라 해킹

“대학교 개강 이후 온라인으로 수업을 듣고 있는데 평소에는 테이프로 노트북 웹캠을 막아놓고 강의를 들을 때만 테이프를 떼고 있습니다. 그래도 사생활 침해를 당할 수 있나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온라인 개강을 맞은 대학생이 화상강의를 들을 때 웹캠 해킹 때문에 걱정이라며 한 포털사이트 문답 페이지에 올린 글이다.

성 착취물을 제작·유포한 텔레그램 ‘n번방’ 운영자 ‘와치맨’이 과거 IP 카메라를 해킹한 뒤 사생활을 불법 녹화해 유포한 사실이 알려지자 학생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웹캠 해킹으로 사생활 영상이 음란물처럼 유포된 사례가 전부터 있었기 때문이다.

학생들은 화상 강의에 참여할 때 얼굴과 목소리뿐 아니라 집안 모습까지 불특정 다수에게 노출해야 한다는 데 부담감을 호소했다.

대학생 도모(25)씨는 8일 “출석 체크나 질의응답 시간처럼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웹캠을 끌 수 있도록 학생들에게 선택권을 줘야 한다”며 “학생들끼리 다른 학생의 얼굴이나 방 안을 캡처하는 경우도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업계에 따르면 이런 문제 때문에 최근 웹캠 가리개 수요가 크게 늘고 있다.

한 온라인 쇼핑몰 관계자는 “기존에는 ‘웹캠 가리개’ 검색이 한 달에 50여건 수준이었는데 n번방 사태가 본격적으로 불거진 2월에는 177건, 3월에는 186건으로 3.5배 이상 늘었다”고 했다. 한 웹캠 가리개 온라인 판매자는 “대학 개강 시점인 지난달 웹캠 커버 판매량이 평소보다 30% 정도 증가했다”고 말했다.

일각에선 웹캠 가리개도 해결책이 아니라는 지적이 나온다. 대학생 정모(18)씨는 “웹캠 가리개를 친구들과 공동구매했는데, 일부 수업은 강의 내내 얼굴을 드러내야만 출석이 인정돼 불만스럽다”고 말했다.

온라인 개학을 눈앞에 둔 초·중·고등학생 부모들도 사생활 침해를 우려하고 있다. 온라인 개강을 준비하는 일부 입시학원에도 이런 염려를 하는 학생과 학부모들의 문의가 이어지고 있다.

중학생 딸을 둔 A(43)씨는 “우리 집에 웹캠 해킹이 일어나지 말라는 법이 없으니 화상강의를 들어야 한다는 게 영 부담스럽다”며 “아이에게 집에서도 옷을 단정하게 입고 방도 깨끗하게 치워놓으라고 했다. 아이가 수업 듣는 시간에 내가 일을 하러 나가 있어 더 걱정된다”고 말했다.

서울의 한 학원에서 강사로 근무하는 대학생 오모(23)씨는 “학원에서 화상강의를 열기로 했는데 학생이나 학부모가 웹캠을 가리고 수업을 들어도 되냐고 문의를 하기도 한다”고 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