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아이 마음 읽기] “공중화장실 세면대 높아 손 씻기 어려워요”

[우리 아이 마음 읽기] “공중화장실 세면대 높아 손 씻기 어려워요”

오달란 기자
오달란 기자
입력 2020-11-08 17:20
업데이트 2020-11-09 09: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안녕하세요. 경남 진해에 사는 초등학교 5학년 최민아입니다. 친구들과 놀다가 공중화장실을 쓸 때가 있는데요. 요즘 화장실은 전기 절약을 위해 센서 등을 설치한 곳이 많더라고요. 그런데 저처럼 키가 작은 아이들이 들어가면 센서가 인지를 못해요. 폴짝폴짝 뛰어도 보고 손을 흔들어야 겨우 불이 들어올 때가 많아요. 너무 급하면 깜깜한 곳에서 볼일을 봐야 해요. 절약은 좋지만 키 작은 아이들도 이용할 수 있는 센서 등을 달아 주시면 좋겠어요.”

“초등학교 1학년 안현규입니다. 집 근처 대형마트 화장실을 이용하는데 남자 아이용 소변기가 남자 화장실에도 있었으면 좋겠어요. 작은 소변기가 여자화장실에만 있어서 엄마랑 같이 들어가는데 이젠 조금 부끄럽거든요.”

초록우산 어린이재단 경남아동옹호센터가 지난 9월 6살~초등학교 6학년(12살) 어린이 34명을 상대로 공중화장실에 대한 의견을 물었더니 이런 생각들이 모였다. 눈높이를 아이에게 맞추자 어른 눈에는 보이지 않았던 불편이 모습을 드러냈다.

키가 작아서 겪는 애로사항이 가장 많았다. 민아처럼 4학년 건우도 도서관 화장실의 센서 등이 제대로 켜지지 않아 무섭다. 건우는 “아이들이 들어가도 불이 바로 커지는 자동센서나 손 닿는 부분에 스위치가 있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1학년 보민이는 공원화장실에서 손을 씻을 때 비누 거치대가 손에 닿지 않아서 곤란을 겪었다. 높이가 맞지 않는 세면대에서 손을 씻다가 옷자락과 소매를 적시는 일은 아이들에겐 흔한 일이었다.

4학년 린지는 축구센터 공중화장실의 옷걸이가 너무 높아서 가방이나 외투를 걸치지 못한 경험을 털어 놨다. 같은 학년 시현이도 “학원이 있는 상가 건물 화장실에 가방을 들고 가는 경우가 많은데 걸이 못이 너무 높아 물건을 얹을 수 있는 선반이 있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전했다.

관리 상태가 좋지 못한 화장실은 아이들에게 공중화장실에 대한 부정적인 인상을 심어 주기도 한다. 5학년 현수는 놀이터 공중화장실에 들어갔다가 배설물과 화장지가 잔뜩 박힌 변기를 맞닥뜨렸다. 5학년 아영이는 냄새가 많이 나고 바닥이 미끄럽고 더러운 공중화장실에 안 좋은 기억이 있었다.

공중화장실에서 수치심을 느낀 어린이도 적지 않았다. 6학년 상우는 “운동장 공중화장실의 남녀 화장실 출입문이 마주 보고 있어 안이 훤히 들여다보인다”며 “어린이 눈높이에 맞는 가림막이 설치돼 있으면 좋겠다. 어린이에게도 프라이버시가 있다”고 말했다.

어린이재단이 지난 9월 4~9세 자녀가 있는 부모 112명을 대상으로 공중화장실 이용에 대한 설문을 진행한 결과도 아이들의 경험과 비슷했다. 자녀의 공중화장실 이용 시 불편한 점을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74.1%는 ‘키에 비해 세면대가 높아 손 씻기가 어렵고 옷이 젖는다’고 답했다. 아동용 양변기가 없어 빠질 뻔한 경험(33.0%), 아동용 소변기가 없는 점(31.3%) 등의 답변이 뒤를 이었다. 응답자의 대부분(98.2%)은 이런 불편이 개선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경남아동옹호센터는 오는 19일 지역 내 관공서와 대형마트 등에 아동 친화적인 공중화장실을 만들어 달라는 어린이들의 촉구서를 전달할 예정이다. 센터의 박문호 과장은 “아동 문제에는 아동이 가장 전문가라는 사실은 어른들이 잊지 말아야 할 원칙”이라고 말했다.

오달란 기자 dallan@seoul.co.kr
2020-11-09 1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