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타항공, 제주항공이 인수 중 ‘수상한 셧다운’ 경찰 수사

이스타항공, 제주항공이 인수 중 ‘수상한 셧다운’ 경찰 수사

오세진 기자
입력 2021-03-03 17:48
업데이트 2021-03-08 09: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상직 의원 ‘주식 신고 누락’ 의혹도 수사

사진은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와 공공운수노조 이스타항공조종사지부 관계자들이 지난해 9월 23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청사 앞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이스타항공 창업주인 이상직 의원과 이스타항공 경영진의 처벌을 촉구하고 있는 모습. 2020.9.23 연합뉴스
사진은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와 공공운수노조 이스타항공조종사지부 관계자들이 지난해 9월 23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청사 앞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이스타항공 창업주인 이상직 의원과 이스타항공 경영진의 처벌을 촉구하고 있는 모습. 2020.9.23 연합뉴스
노동자 600여명을 정리해고한 이스타항공이 일부러 재무상황을 악화시켜 제주항공과의 기업결합을 추진했다는 의혹 사건을 경찰이 수사한다. 경찰은 또 이상직 무소속 의원이 이스타항공 관련 주식을 보유하고도 재산 공개 때 신고하지 않았다는 의혹 사건 수사도 맡았다.

4일 서울신문 확인 결과 서울 강서경찰서는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이스타항공조종사지부(이스타항공노조)가 최종구 전 이스타항공 대표와 이석구 전 제주항공 사장, 이상직 무소속 의원을 고발한 사건을 지난달 서울남부지검으로부터 이송받고 현재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

앞서 이스타항공노조는 지난 1월 27일 최 전 대표와 이 전 사장 등을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 혐의로 검찰에 고발했다. 지난 2019년 12월 이스타항공의 최대주주인 이스타홀딩스가 제주항공과 주식매매 계약에 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뒤로 이스타항공은 지난해 2월 지급 불능을 이유로 직원들의 임금 60%를 체불하고, 지난해 3월 국제선과 국내선 운항을 전면 중단했다.

이스타항공이 제주항공과의 기업결합 과정에서 고의로 부채 규모를 늘리고 항공기 운항을 전면 중단해 회사를 회생불가상태로 만든 다음 지난해 4월 23일 공정거래위원회가 기업결합을 승인하도록 했다며 이는 공정위의 공무집행을 속임수로 방해했다는 것이 노조의 고발 이유다.

노조는 또 이스타항공의 지배주주인 아이엠에스씨의 주식을 보유한 사람은 이 의원 조카이지만 이 주식의 실질주주는 이 의원이라며 국회의원 재산 내역을 공개할 때 이 주식의 신고를 누락한 이 의원을 공직자윤리법 위반으로 고발했다. 아이엠에스씨의 대표는 이 의원의 친형이다.

한편 최 전 대표는 이스타항공 노동자들의 임금을 체불하고 일부를 횡령하여 회사의 운영자금으로 사용한 혐의로 지난달 25일 서울남부지법에 불구속 기소됐다.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