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기증은 생명의 이음… 이제 국가가 기억합니다

장기기증은 생명의 이음… 이제 국가가 기억합니다

이범수 기자
이범수 기자
입력 2021-04-04 20:42
업데이트 2021-04-05 01:3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생명나눔 확산 앞장 문인성 KODA 원장

“교육·홍보 강화하면 기증 2배 늘어날 것”
각 학교에 ‘생명 잇기 프로그램’ 도입 계획
기증자·유가족 예우 추모공원 조성 추진

국내 빅5 대형병원, 뇌사자 발굴 소극적
기증 동의 간소화 ‘옵트 아웃’ 논의 필요

이미지 확대
문인성 한국장기조직기증원(KODA) 원장
문인성 한국장기조직기증원(KODA) 원장
“장기 기증자에 대한 예우와 국민을 대상으로 한 교육·홍보를 강화하면 3~5년 내에 기증자 수가 2배로 늘어날 수 있다.”

문인성 한국장기조직기증원(KODA) 원장은 4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국가에서 장기를 기증하신 분들의 유가족을 사회적으로 대우하기 위해 추모공원을 만들고 언제든 가족들이 와서 기릴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문 원장은 이어 “학교에서 생명에 대한 존엄뿐 아니라 생명 잇기 프로그램을 통해 장기 기증 가치를 알릴 수 있도록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 그는 1979년 가톨릭대 의대를 졸업한 후 40년간 외과의사로 일하다가 지난해 11월 25일 KODA 원장에 취임했다. 임기는 3년이다.

KODA에 따르면 뇌사 장기 기증자 수는 2016년 573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2017년 515명, 2018년 449명, 2019년 450명으로 급감했고, 지난해 478명으로 조금 반등한 상황이다. 장기 이식 대기자 수가 3만여명에 달하는 상황에서 기증자 수가 부족하다 보니 1일 평균 5.8명이 사망(2019년)하고 있다. 문 원장은 대형병원의 뇌사 추정자, 뇌사 기증자 관리도 중요한 문제로 꼽았다. 문 원장은 “현재 장기 이식 수술의 절반을 ‘빅5’라고 불리는 대형병원들이 하고 있는데 뇌사자 발굴 건수를 보면 이식 수술 건수 대비 상대적으로 많지 않다”면서 “우리가 병원과 협약을 맺어 병원의 부담을 낮추고 뇌사 관리를 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장기적으로 법 제도 보완도 준비 중이다. 스페인이 도입한 ‘옵트 아웃’ 제도가 대표적이다. 생전에 어떤 사람이 ‘앞으로 절대로 기증을 안 하겠다’고 등록을 해 놓으면 어느 누구도 몸에 손을 못 대지만 그런 의사를 확인할 수 없으면 기증할 의사가 있는 사람으로 추정하는 것이다. 문 원장은 “인구 백만명당 뇌사 기증자 수가 스페인은 49.6명(한국 8.68명)이다. 국내에서는 국민 정서를 고려해 당장 도입할 수는 없지만 도입 논의는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문 원장은 “한평생 신장 등을 이식하는 의사로 살면서 후유증 없이 수술을 끝내는 데 집중했지 환자와 기증자가 어떻게 맺어지는지 사실은 잘 몰랐다”면서 “KODA 원장이 된 후에 기증자들이 정말 남을 위하는 마음이 따뜻한, 특별한 사람들이라는 걸 알게 됐고 예우의 필요성을 강하게 느꼈다. 예우 강화와 교육에 초점을 맞춰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범수 기자 bulse46@seoul.co.kr
2021-04-05 2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