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5명 중 1명, 당근마켓 이용”…93%가 구매자 겸 판매자

“국민 5명 중 1명, 당근마켓 이용”…93%가 구매자 겸 판매자

김채현 기자
김채현 기자
입력 2021-04-12 16:36
업데이트 2021-04-12 16: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고거래 이용자 1000만명”
환경과 자원 재사용 중요성 커져
“앱 진입장벽 낮은 게 성공 핵심”


중고거래 앱 ‘당근마켓’을 쓰는 사람이 일주일에 1000만명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근마켓 이용자는 93%가 구매자이자 판매자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12일 당근마켓에 따르면, 이 앱은 지난달 기준으로 주간 활성 이용자 수(WAU·Weekly Active Users)가 1000만명을 돌파했다. IT업계에서는 WAU가 높을수록 해당 서비스가 이용자들 생활에 밀착해있다고 본다.

지난달 기준으로 당근마켓 누적 가입자 수는 2000만명,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는 1500만명을 기록했다.

국민 5명 중 1명, 당근마켓으로 자원 재사용에 동참
당근마켓 가입자의 93.3%는 중고 물품 구매자인 동시에 판매자인 것으로 집계됐다.

당근마켓은 “개인 간 거래만 허용하고 전문 판매업자는 활동하지 못하도록 한 덕에, 모든 이용자가 판매자이자 구매자인 진정한 개인 간 중고거래(C2C) 서비스 및 지역 생활 커뮤니티가 됐다”고 분석했다.

이처럼 ‘동네’ 또는 ‘단지’ 수준의 좁은 지역을 타깃 하는 서비스를 ‘하이퍼로컬’이라고 한다.
당근마켓 이용자 현황 인포그래픽. 연합뉴스
당근마켓 이용자 현황 인포그래픽. 연합뉴스
IT 전문가들은 하이퍼로컬 시장이 활성화하려면 어느 동네나 있는 고령자 및 디지털 소외계층이 쉽게 가입·이용할 수 있도록 앱 진입장벽이 낮아야 한다고 말한다. 당근마켓의 성공 비결도 전화번호만으로 가입할 수 있었던 점이 핵심으로 꼽힌다.

당근마켓의 경우 중고 거래 사기가 비대면 택배 거래에서 발생한다는 점에 착안해 대면 직거래 방식으로 서비스를 설계한 점, 코로나19로 사람들 생활 반경이 좁아진 점 등이 안팎의 성공 요인으로 분석된다.

당근마켓 MAU는 지난해 3월 660만명에서 올해 3월 1500만명으로 1년 만에 약 2.3배 증가했다.

당근마켓 김용현 공동대표는 “환경과 자원 재사용의 중요성도 커지면서 어느덧 중고 거래 이용자 1000만명 시대가 열렸다”며 “지역의 가치 있는 정보·소식을 연결하고 생활 편의를 높이는 하이퍼로컬 시장의 선두 주자로 혁신을 거듭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채현 기자 chk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