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사려면 얼마나 걸리나? ‘순소득 148만원에 62년’

서울 아파트 사려면 얼마나 걸리나? ‘순소득 148만원에 62년’

김채현 기자
김채현 기자
입력 2021-06-16 19:22
업데이트 2021-06-16 19: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추경호 의원, 통계청·KB리브온 자료 기반 분석

이미지 확대
평균적으로 벌고 쓰는 사람이 서울에 아파트를 사려면 약 62년이 걸린다는 분석이 나왔다.

16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국민회힘 추경호 의원이 통계청과 KB리브온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를 보면 전국 1인 이상 도시근로자 가구 평균 소득자가 일반적인 지출을 할 때 서울 아파트를 구매하는 데 필요한 기간은 61.9년으로 집계됐다.

이는 올해 1분기 말 기준 도시 근로자 평균 월간 순소득인 148만 652원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여기서 순소득은 평균 소득액(537만 3296원)에서 평균 지출액(389만 2644만원)을 뺀 값이다.

같은 기간 서울 아파트 평균 가격은 10억 9993만원으로 나타났다.

순소득이 150만원 정도인 평범한 직장인이 서울에 11억짜리 아파트를 사려면 약 62년 동안 이 돈을 모아둬야 한다는 뜻이다.

한편 5년 전인 2016년 1분기(116만 6406원)에 비해 현재 평균 순소득은 26.9% 늘었다. 당시 평균 소득액과 지출액은 각각 469만 8857만원, 353만 2451원이다.

반면 이 기간 아파트 가격 상승률은 5억 5435만원에서 약 2배 가까이 뛴 98.4%다. 순소득 상승률과 비교하면 약 3배가량 빠른 셈이다.

같은 기준으로 놓고 볼 때 당시 아파트 구입에 걸리는 기간은 39.6년으로 지금보다 21.6년 적었다.

김채현 기자 chk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