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재난안전연구원 실험자료(왼쪽), 온라인 커뮤니티에 9일 퍼진 ‘의정부 의인’ 사진.](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8/10/SSI_20220810110120_O2.jpg)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실험자료(왼쪽), 온라인 커뮤니티에 9일 퍼진 ‘의정부 의인’ 사진.](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8/10/SSI_20220810110120.jpg)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실험자료(왼쪽), 온라인 커뮤니티에 9일 퍼진 ‘의정부 의인’ 사진.
온라인 커뮤니티 등을 중심으로 ‘동네 배수로 뚫어주신 아저씨’라는 제하의 글이 9일 게재됐다.
작성자는 “이날 한 시간 정도 운동하고 집 가려고 했는데 밖을 보니 갑자기 물바다가 됐다”며 “한 시간도 안 되는 사이 물에 잠겨서 근처 상가까지 물이 넘치고 난리가 났다”고 전했다.
그는 게시글에 당시 의정부 용현동의 침수 현장도 공개했다.
사진 속 도로에는 흙탕물이 차 자동차 바퀴는 물에 잠기고 시민들은 차오른 물을 건너 가고 있다. 또한 물이 가장 깊게 올라찬 부분에는 가슴께까지 물이 찬 시민이 보인다.
작성자는 “물에 잠긴 도로가 500m는 넘는데 배수로가 막히니 30분만에 사람들 무릎까지 물이 찼다”고 설명했다.
이 때 한 남성이 나타나 배수로의 쓰레기를 치우기 시작했다.
작성자는 “어디선가 아저씨가 나오셔서 쭈그리고 앉아 쓰레기를 뽑았다”며 “그랬더니 아주머니가 쓰레기를 버릴 수 있게 종량제 봉투를 가져오셨다. 아저씨는 끝까지 물이 다 빠질 때까지 있었다. 물이 막히면 다시 뚫는 걸 반복하다 떠났다”고 말했다.
이어 “아저씨가 배수로를 뚫으니 10분도 안 돼 물이 다 빠졌다”며 “배수로의 중요성을 알게 됐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막혔던 배수로를 보니 주로 낙엽과 비닐 종류 쓰레기가 많았다”며 “물이 계속 고여 피해를 볼 수 있었던 상황에서 아저씨 등 덕분에 주변 상인, 주택, 차량 주인들이 안심할 수 있었다”고 했다.
작성자는 최근 화제가 된 이른바 ‘강남 영웅 아저씨’도 언급했다.
그는 “최근 강남 영웅 아저씨를 보고 감동했는데 우리 동네에도 멋진 아저씨가 있다”며 “참 고마운 분”이라고 말했다.
앞서 지난 8일 침수된 강남역에서도 쓰레기로 막힌 빗물받이를 청소해 물을 뺀 남성의 사진이 온라인에 공유됐다. 이 남성은 ‘강남역 의인’이라는 이름으로 온라인에 사진이 퍼졌다. 그는 낙엽, 음료수 캔, 페트병 등 쓰레기를 맨손으로 건졌다.
이들 의인이 침수를 막을 수 있던 건 빗물받이를 비운 덕이다.
국립재난안전연구원에서는 지난 2015년 8월 25일 도로변 빗물받이에 각종 쓰레기 퇴적 및 인위적인 덮개 막음이 침수 피해를 세 배 이상 키울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빗물받이 내부에 토사와 무심코 버린 쓰레기가 퇴적돼 있을 경우 토사만 퇴적되어 있을 때 보다 우수관 막힘 가능성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악취나 생활편의로 빗물받이 덮개를 막아 놓은 상황이 침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규모 검증실험으로 재현한 결과 빗물받이 덮개를 막음으로 침수높이는 약 두 배 이상 증가했다.
시간당 500㎜의 강우에는 10분 이내에 보도블록을 범람하여 침수피해가 발생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