꿀벌응애 방제 적기(농촌진흥청 제공)
농촌진흥청은 올해 초 꿀벌 폐사 문제로 민관합동 현장 조사를 벌인 결과, 꿀벌 폐사가 발생한 대부분 농가에서 꿀벌응애류가 발견됐다고 10일 밝혔다.
꿀벌응애류는 꿀벌 애벌레와 성충에게 직접 피해를 주거나 각종 질병과 바이러스를 매개해 양봉산업의 생산성을 떨어뜨리는 주요 해충으로 알려졌다.
실제 지난 6월 농촌진흥청의 조사 당시 꿀벌 폐사 모든 농가에서 꿀벌응애류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올해 꿀벌응애는 평년보다 이른 6월에 초기 증식, 9월부터 본격적으로 피해를 줄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농촌진흥청은 방지하기 8월 안에는 친환경 방제와 화학적 방제를 병행해 적극적으로 밀도를 낮추고 관리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또 ‘수벌집 이용 꿀벌응애 유인 포살 기술’과 유기산 이용 기술 같은 꿀벌응애 친환경 방제기술의 현장 지원도 확대하기로 했다.
농촌진흥청 농업생물부 이승돈 부장은 “꿀벌 월동 폐사는 앞으로도 재발할 우려가 항상 존재하는 문제”라며 “농가들이 안정적으로 양봉업에 종사할 수 있도록 민관이 협력해 병해충 발생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