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방사능검사 횟수 줄었는데 검출률 늘었다…“수산물이력제 관리해야”

日 방사능검사 횟수 줄었는데 검출률 늘었다…“수산물이력제 관리해야”

곽소영 기자
곽소영 기자
입력 2023-04-05 16:26
수정 2023-04-05 16: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지난해 일본 농산물 21%, 수산물 5% 세슘 검출
수산물 중에선 산천어에서 세슘 검출 가장 높아

이미지 확대
일본산 수산물 등 방사능 오염실태  발표
일본산 수산물 등 방사능 오염실태 발표 5일 오전 서울 종로구 환경운동연합에서 최경숙 시민방사능감시센터 활동가(맨 왼쪽)가 ‘2022년 일본산 농·축·수산물 방사능 오염실태’ 분석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2023.4.5 연합뉴스
2011년 동일본 대지진 이후 일본 정부의 방사성물질 검사 건수는 매년 줄고 있지만 검출률은 증가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민방사능감시센터와 환경운동연합은 5일 이런 내용의 ‘2022년 일본산 농수축산물 방사능 오염 실태 분석보고서’를 발표했다.

일본 후생노동성의 농수축산물 검사 건수는 2018년 17만 1925건에서 지난해 3만 6155건으로 크게 줄었으나 검출률은 같은 기간 1.8%에서 11.5%로 뛰었다. 종류별 검사 결과를 보면 수산물 5.3%, 농산물 21.1% , 축산물 2.6%, 야생육(멧돼지고기 등) 29.0%, 가공식품 6.3%, 유제품 0.3%에서 방사성물질 ‘세슘’이 검출됐다.

특히 일본산 수산물 수입 금지 지역(후쿠시마현 포함 주변 8개 현) 수산물의 방사성물질 검출률은 5.8%로 수입 허용 지역 수산물(0.8%)에 비해 약 7배 높았다. 세슘 검출이 가장 높게 나타난 품목은 산천어(170Bq/㎏)로 나타났다.

후쿠시마현 포함 주변 8개 현의 농산물 22%에서도 세슘이 검출됐다. 그 외 지역 농산물(14%)과 비교하면 1.5배 이상 높은 셈이다.

능이버섯 1500Bq/㎏, 송이버섯 290Bq/㎏, 버섯류 230Bq/㎏ 등 야생버섯에서의 세슘 검출량이 높게 나왔다. 2018~2021년 검사 결과에서는 후쿠시마현 버섯에서 세슘이 높게 검출됐으나 지난해 검사에서는 야마가타 등 후쿠시마 핵발전소 재해지를 벗어난 지역의 버섯에서 주로 검출됐다.

안재훈 환경운동연합 활동처장은 “일본 내에서 관리한다고 해도 원산지를 제대로 추적하는 게 쉽지 않은 현실”이라면서 “우리나라가 수산물 이력제를 통해 관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