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립공원에서 승격…문화자원 북한산 다음으로 풍부
![팔공산 국립공원 승격안이 23일 국립공원위원회 심의를 통과해 대구?경북의 명산인 팔공산은 국내 23번째 국립공원으로 승격이 확정됐다. 사진은 이날 오후 경북 경산시 와촌면 갓바위 상공에서 바라본 팔공산 전경. 2023.5.23 뉴스1](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5/23/SSC_20230523160027_O2.jpg)
![팔공산 국립공원 승격안이 23일 국립공원위원회 심의를 통과해 대구?경북의 명산인 팔공산은 국내 23번째 국립공원으로 승격이 확정됐다. 사진은 이날 오후 경북 경산시 와촌면 갓바위 상공에서 바라본 팔공산 전경. 2023.5.23 뉴스1](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5/23/SSC_20230523160027.jpg)
팔공산 국립공원 승격안이 23일 국립공원위원회 심의를 통과해 대구?경북의 명산인 팔공산은 국내 23번째 국립공원으로 승격이 확정됐다. 사진은 이날 오후 경북 경산시 와촌면 갓바위 상공에서 바라본 팔공산 전경. 2023.5.23 뉴스1
환경부는 23일 제138차 국립공원위원회를 열고 ‘팔공산국립공원 지정안’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팔공산은 해발고도가 1192m로 대구 동구, 경북 경산시·영천시·군위군·칠곡군에 걸쳐 있다.
2021년 9월부터 이듬해 10월까지 타당성 조사에 따르면 팔공산은 자연생태계와 자연경관, 문화경관 측면에서 준수한 평가를 받았다.
붉은박쥐·수달 등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 매·삵·담비·하늘다람쥐 등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을 포함해 야생생물 5296종이 서식하고 있다.
산봉 39곳과 기암 10곳, 계곡 19곳 등 자연경관자원도 77곳 분포해 있다.
특히 국가지정문화재 30점, 지방지정문화재 61점, 등록문화재 1점 등 문화자원 92점을 볼 수 있다는 점에서 높은 점수를 받는다. 팔공산은 북한산 다음으로 가장 풍부한 문화자원을 보유한 국립공원이 될 전망이다.
![한화진 환경부 장관이 23일 오후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대구·경북에 걸쳐 있는 명산 팔공산의 국립공원 승격을 발표하고 있다. 2023.5.23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5/23/SSC_20230523160028_O2.jpg)
![한화진 환경부 장관이 23일 오후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대구·경북에 걸쳐 있는 명산 팔공산의 국립공원 승격을 발표하고 있다. 2023.5.23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5/23/SSC_20230523160028.jpg)
한화진 환경부 장관이 23일 오후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대구·경북에 걸쳐 있는 명산 팔공산의 국립공원 승격을 발표하고 있다. 2023.5.23 연합뉴스
팔공산을 찾는 탐방객은 358만명에서 458만명으로 28% 증가할 것으로 환경부는 내다봤다.
늘어나는 탐방객을 수용할 수 있도록 탐방로와 화장실, 주차장 야영장 등 13곳을 추가하면 총 115곳의 공원시설이 마련된다.
국립공원으로 지정되면서 팔공산을 관리하는 주체는 대구시와 경북도에서 환경부로 일원화됐다. 기존 국립공원 22곳 가운데 제주특별자치도 관리를 받는 한라산국립공원을 제외한 21곳은 국립공원공단 관할이다.
공원을 관리하는 전문기관인 국립공원공단이 팔공산을 관리하게 되면 자연자원 모니터링, 훼손지 복원, 핵심지역 사유지 매수, 문화유산지구 정비를 통해 체계적인 보전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환경부는 강조했다.
환경부는 다음 달 중 팔공산국립공원 지정을 관보에 고시하고 올 하반기 중에 업무 이관 절차를 마무리할 계획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