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호 태풍 ‘카눈’ 6일 오전 10시 예상이동경로. 기상청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8/06/SSC_20230806112517_O2.png)
기상청 제공
![6호 태풍 ‘카눈’ 6일 오전 10시 예상이동경로. 기상청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8/06/SSC_20230806112517.png)
6호 태풍 ‘카눈’ 6일 오전 10시 예상이동경로.
기상청 제공
기상청 제공
기상청이 6일 오전 10시에 발표한 태풍정보에 따르면 카눈은 이날 오전 9시 일본 오키나와 북동쪽 약 190㎞ 부근 해상을 지났다.
중심기압 970h㎩(헥토파스칼), 최대풍속 초속 35m(시속 126㎞)에 강도 ‘강’ 등급의 카눈은 현재 남동진 중이다.
기상청은 동진하던 카눈이 7일 낮에 방향을 틀어 일본 가고시마현 부근 해상을 향해 북상할 것으로 보고 있다.
문제는 카눈이 일본을 관통한 뒤에도 세력을 유지한 채 우리나라 동해안을 따라 북상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다.
특히 일본 규슈 내륙 가운데로 관통할 것이라는 기존 예측과 달리 규슈 서쪽을 스치듯이 지나갈 것으로 예상돼 카눈이 일본을 지나고도 태풍의 위력을 유지한 채 북상할 전망이다.
기상청은 카눈이 9일 오전 9시 강도 ‘강’ 등급으로 가고시마 서남서쪽 약 70㎞ 부근 해상을 지난 뒤 10일 오전 9시 강도 ‘중’ 등급으로 부산 동쪽 약 60㎞ 해상에 도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후 부산 인근 경남 해안에 상륙해 동해안을 스치면서 북한 원산 부근까지 북상하겠다.
![천리안위성 2A호가 찍은 6호 태풍 ‘카눈’의 모습. 국가기상위성센터](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8/06/SSC_20230806112518_O2.gif)
국가기상위성센터
![천리안위성 2A호가 찍은 6호 태풍 ‘카눈’의 모습. 국가기상위성센터](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8/06/SSC_20230806112518.gif)
천리안위성 2A호가 찍은 6호 태풍 ‘카눈’의 모습.
국가기상위성센터
국가기상위성센터
기상청은 태풍의 진로가 유동적인 가운데 이번 주 중반부터 전국이 태풍의 직접 영향권에 들고, 영동과 영남 지방은 강한 비바람이 몰아치겠다며 철저한 대비를 당부했다.
부산, 울산, 경남은 9일 밤부터 10일 밤까지, 대구, 경북, 충북은 10일 새벽부터 10일 오전까지, 강원도, 경기동부는 10일 아침부터 11일 낮까지 강풍반경에 들 것으로 예상된다. 강풍반경은 태풍 중심으로부터 풍속 15㎧ 이상 바람이 부는 영역을 말한다. 강풍반경에 들 경우 태풍특보가 발표될 수 있다.
당분간 제주도해안과 남해안, 서해안, 강원동해안에는 너울이 유입되면서 방파제나 갯바위를 넘을 정도로 높은 물결이 밀려오는 곳이 있겠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