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통일의식조사 결과 발표
20대 ‘통일 필요하다’ 28.2%, ‘필요없다’ 41.3%
![판문점. 2023.3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8/17/SSC_20230817171414_O2.jpg)
![판문점. 2023.3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8/17/SSC_20230817171414.jpg)
판문점. 2023.3 연합뉴스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은 17일 이러한 내용의 ‘2023년 통일의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에서 ‘통일이 매우 필요하다’, ‘약간 필요하다’고 응답한 비중은 43.8%로 2007년 조사 이후 가장 낮았다. 반면 ‘통일이 필요하지 않다’는 응답은 29.8%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20대는 통일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비중이 28.2%에 불과했다. 반면 통일이 필요하지 않다는 응답은 41.3%로 10% 포인트 이상 높았다. 30대도 통일이 필요하지 않다는 응답이 35%로 ‘필요하다’(34%)보다 높았다. 통일이 필요하다는 응답은 40대 42.3%, 50대 51.9%, 60대 55.6%로 연령이 높아질수록 높게 나왔다.
통일에 대한 견해와 관련해서는 ‘여건이 성숙하기를 기다렸다가 점진적으로 통일되는 게 좋다’는 응답이 45.2%로 2007년 이후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반면 남북한이 분단된 ‘현재대로가 좋다’는 응답은 28.2%로 가장 높은 수준으로 상승했다. ‘통일에 대한 관심이 별로 없다’는 응답도 9.9%로 역대 최고치였다.
통일 가능 시기와 관련해선 ‘5년 이내 가능’(1.0%) 또는 ‘10년 이내 가능’(6.2%) 응답은 지속적으로 줄어든 반면 ‘30년 이상’(30.2%) 또는 ‘불가능하다’(33.3%)는 응답은 조사 이래 가장 높은 수준이었다.
‘북한이 우리에게 어떤 대상이라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는 협력 대상이라는 응답이 37.7%로 역대 최저치인 반면, 경계 대상이라는 인식과 적대 대상이란 인식은 각각 23.7%, 18.7%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북한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어느 때보다 높았다.
이번 조사는 연구원이 한국갤럽에 의뢰해 지난달 4~27일 전국 19세 이상 성인 남녀 12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