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팔공산 관통 고속도로 민자로 건설
경북도, 신공항과 의성 신도시 연결 도로 추진


팔공산 관통 고속도로 위치도. 대구시 제공
대구시는 신공항과 대구 동남권을 잇는 팔공산 관통 고속도로가 민자 사업으로 추진하고, 경북도는 신공항과 의성 공항신도시를 연결하는 도로를 위한 사전 작업에 들어갔다.
대구시 팔공산 관통 고속도로 민자사업 추진 계획에 따르면 이 도로는 2030년 신공항 개항 시기에 맞춰 개통할 예정이다.
이 고속도로는 동대구분기점∼동군위분기점을 연결하는 25.3㎞ 도로로 사업비는 1조7000억원이 들 것으로 예상된다.
이 도로가 개통되면 동·수성구 등 대구 동남권과 경산·청도 등 경북 동남권 주민의 신공항 접근성이 높아질 전망이다. 특히 이 도로는 대구에 편입된 군위군과 대구를 직통으로 연결하는 간선 도로 역할도 하게 된다.
당초 시는 이 도로를 정부 재정사업으로 검토했지만 건설 절차 이행에 많은 시간이 걸려 신공항 개항과 맞춰 도로 개통이 어렵다고 보고 민자사업으로 전환했다.
시는 연말까지 사전타당성 용역을 완료하고 민간 사업자 선정, 최적노선 및 경제성 분석 절차 등을 진행할 계획이다.
팔공산 관통 고속도로 개설과 관련해 환경부와도 사전 협의를 마쳤다고 대구시는 “환경훼손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신공항 접근성 향상을 위한 고속도로가 2030년 신공항 개항 이전에 개통될 수 있도록 차질 없이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경북도는 신공항과 의성 공항신도시(의성IC)를 연결하는 도로 기본구상을 위한 사전타당성 조사용역에 들어갔다.
사전타당성 조사는 사업 착수에 앞서 경제성 분석 등 타당성을 검토해 사업 추진 여부를 결정하는 데 필요한 절차다.
용역 결과는 내년 하반기에 나올 예정이다. 도는 사업이 확정된 의성 공항 진입도로(국도 28호선∼신공항 4.6㎞)와 이 도로가 연결되면 신공항 경제권 활성화와 인근 배후 산업단지·신도시 접근성이 향상될 것으로 보고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