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을 앞두고 벌초와 관련한 안전사고가 자주 발생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4일 전북소방본부에 따르면 벌초 관련 안전사고는 최근 5년간(2018~2022년) 총 386건이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전북도청 전경
사고 유형은 벌 쏘임 사고가 69.1%(267건)로 가장 많았다. 이어 예초기와 낫으로 인한 부상 5.6%(22건)을 비롯해 뱀에 물리거나 탈진, 낙상 등이 뒤를 이었다.
사고를 당한 연령대는 주로 중·장년층이 많았다. 60대 136명(34.6%), 40대 132명(34%), 50대 72명(18.7%) 순이다.
전북소방본부는 벌초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벌에 쏘이면 얼음찜질, 호흡곤란시 즉시 119 신고, 예초기 칼날에 보호덮개와 안전판 부착, 보호안경·안전화·안전장갑 착용 등 안전수칙을 당부했다.
주낙동 전북소방본부장은 “추석을 앞두고 벌초 관련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며 “예방수칙을 잘 지켜 안전한 한가위를 보내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4일 전북소방본부에 따르면 벌초 관련 안전사고는 최근 5년간(2018~2022년) 총 386건이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전북도청 전경](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9/04/SSC_20230904160629_O2.jpg)
![전북도청 전경](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9/04/SSC_20230904160629.jpg)
전북도청 전경
사고를 당한 연령대는 주로 중·장년층이 많았다. 60대 136명(34.6%), 40대 132명(34%), 50대 72명(18.7%) 순이다.
전북소방본부는 벌초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벌에 쏘이면 얼음찜질, 호흡곤란시 즉시 119 신고, 예초기 칼날에 보호덮개와 안전판 부착, 보호안경·안전화·안전장갑 착용 등 안전수칙을 당부했다.
주낙동 전북소방본부장은 “추석을 앞두고 벌초 관련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며 “예방수칙을 잘 지켜 안전한 한가위를 보내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