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앞둔 전통시장·마트 가 보니
![5일 서울 동대문구 청량리 청과물 도매시장에서 판매 중인 사과의 모습. 2023. 9. 5.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9/25/SSC_20230925064548_O2.png)
![5일 서울 동대문구 청량리 청과물 도매시장에서 판매 중인 사과의 모습. 2023. 9. 5.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9/25/SSC_20230925064548.png)
5일 서울 동대문구 청량리 청과물 도매시장에서 판매 중인 사과의 모습. 2023. 9. 5. 연합뉴스
추석을 닷새 앞둔 24일 서울 마포구 망원시장을 찾은 박영수(51)씨는 차례상 이야기에 한숨부터 내쉬었다. 박씨는 “비싼 곶감 같은 건 차례상에서 빼고, 사과나 배도 가격이 비싸 몇 개만 놓고 차례를 지낼 예정”이라고 말했다.
●차례상 간소화하거나 아예 생략
이날 전통시장과 마트는 명절을 앞두고 차례상에 쓰거나 가족들이 먹을 음식을 장만하기 위해 장을 보러 나온 시민들로 북적였다. 하지만 사과, 배 등 과일이나 채소의 가격을 보고 고개를 젓는 이들이 많았다. 차례상에 올라가야 할 과일 가운데 사과는 하나에 4000~6000원이었고, 배는 3000~5000원이었다. 선물 세트 형태로 포장된 곶감은 20개에 3만 5000원을 웃돌았다. 주부 안모(54)씨는 “사과와 배만 넉넉하게 사도 5만원을 넘게 써야 한다”며 “고기에 전 부칠 때 쓸 재료까지 사면 돈을 얼마나 더 써야 할지 가늠도 안 된다”고 했다.
가파르게 오른 가격에 차례상을 간소화하거나 아예 생략하겠다는 시민들도 있었다. 종로구 통인시장에서 만난 주부 윤모(44)씨는 “명절 음식을 준비하다 보니 과일 사는 데만 10만원 넘게 썼다”며 “올해는 어쩔 수 없이 차례를 지내겠지만 내년부터는 차례를 아예 없앨까 한다”고 말했다.
●지난해부터 고물가… 호우 피해 겹쳐
상인들과 시민들이 고물가를 호소하는 것은 지난해부터 줄곧 물가 상승이 이어진 데다 집중호우 등으로 인해 차례상에 오르는 과일과 채소의 가격이 유독 더 올라서다.
영등포구의 한 대형마트에서 만난 유한희(40)씨는 “물가는 코로나19 유행이 한창일 때부터 지금까지 계속 오르고 있지만, 월급은 큰 차이가 없다”며 “지난해 추석보다 차례상 비용이 줄어들 수 없는 상황”이라고 했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정부 발표와 체감 물가에 괴리가 생기는 이유는 지난해 물가가 워낙 오른 ‘기저효과’가 작용했기 때문”이라며 “20대 성수품도 최근 명절에 많이 사는 품목과 다소 동떨어져 있다는 점도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말했다.
2023-09-25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