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국내 첫 지방주도 경제성장모델 제시…‘K-U시티프로젝트’

경북도, 국내 첫 지방주도 경제성장모델 제시…‘K-U시티프로젝트’

김상화 기자
김상화 기자
입력 2023-12-21 16:13
수정 2023-12-21 16:1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이철우(앞줄 중앙) 경북도지사와 아비지트 베너지(세번째) MIT 경제학과 교수, K-U시티프로젝트 참여 지자체, 대학 등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경북도 제공
이철우(앞줄 중앙) 경북도지사와 아비지트 베너지(세번째) MIT 경제학과 교수, K-U시티프로젝트 참여 지자체, 대학 등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경북도 제공
경북도가 지방자치단체와 대학, 기업의 상생협력을 통한 지방주도 경제성장모델을 제시했다.

도는 21일 경주 라한셀렉트호텔에서 ‘2023 지방주도 경제성장 국제콘퍼런스’를 개최했다.

이날 2019년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아비지트 베너지 미국 매사추세츠공대 교수는 기조강연에서 “한국과 같은 부유한 국가도 가계부채 증가, 불평등, 재분배 실패 등 구조적 문제로 성장이 둔화하는 1970∼1980년대 수준으로 되돌아갈 수 있다”며 “분권화 시대 지방주도 경제성장에 대한 인력양성과 투자 여건, 정주 여건 등의 정책을 대신할 수 있는 K-U시티 프로젝트가 지역 경제성장의 좋은 모델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도가 추진하는 K-U시티는 1시군-1대학-1특성화(기업) 전략 프로젝트로 지역인재 양성과 취업, 정착을 통합 지원하는 모델이다. 그동안 22개 시군과 29개 대학, 30개 고교, 95개 기업과 함께 K-U시티 프로젝트 인력양성 협력체계를 구축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지방주도 지역경제 성장 정책과 과제 ▲지방발전 재정·금융·기업지원 제도 ▲분권화에 의한 지방주도 성장 등에 대한 발표와 토론이 이어졌다. 또 분권화를 위한 지방의 기능 정립, 지역 균형발전을 위한 지방세 제도 개선 검토, 지방 분권화 성공조건 등에 관한 학회와 전문가의 토론이 펼쳐졌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지방이 대학·기업과 공동 기획하고 지방이 선도 투자하면 모자라는 부분을 중앙정부가 지원하는 지방시대 선도 정책인 경북 K-U시티 프로젝트를 성공시켜 현장 중심의 플랫폼형 지방정부 모델을 전국적으로 확산시키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4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4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