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위 인각사지서 통일신라∼조선 시기별 기와 가마 등 발견

군위 인각사지서 통일신라∼조선 시기별 기와 가마 등 발견

김상화 기자
김상화 기자
입력 2023-12-24 18:14
업데이트 2023-12-24 18:1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대구 군위군 삼국유사면 인각사지에서 조사 발굴된 통일신라시대 기와가마터를 김진열(왼쪽 네번째) 군위군수와 박수현(다섯번째) 군의회 의장, 군의원이 현장을 확인하고 있다. 군위군 제공
대구 군위군 삼국유사면 인각사지에서 조사 발굴된 통일신라시대 기와가마터를 김진열(왼쪽 네번째) 군위군수와 박수현(다섯번째) 군의회 의장, 군의원이 현장을 확인하고 있다. 군위군 제공
대구시 군위군은 인각사지 발굴조사에서 통일신라시대부터 조선까지 시기별 기와 가마 5기와 삼가마 1기, 석열 3기 등을 발견했다고 24일 밝혔다.

불교문화재연구소가 군위군의 지원을 받아 인각사지 동쪽 100m 구릉 1800여㎡를 대상으로 지난 10월 발굴을 시작했다.

발견된 기와 가마는 통일신라·고려·조선 시대를 대표하는 모습인 것으로 확인됐다고 군위군은 전했다.

조사지역 동쪽에서 서쪽으로 시간 흐름에 따라 이동하면서 조성되는 독특한 양상을 보여 인각사 창건과 중창 시기의 이동 방향과 비슷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통일신라시대 구들식 가마는 완벽한 형태로 소성실이 발굴돼 동아시아 구들가마의 원형을 밝힐 수 있는 귀한 유구로 발굴팀은 추정하고 있다. 통일신라시대 구들식 가마는 조사지역 가장 동쪽에서 확인됐다. 내부에서는 중판 선문계 기와편 등이 다량으로 확인되고 있어 적어도 8세기 때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전체 길이는 4m로, 소성실 내부가 조선시대 구들골처럼 회청색으로 단단하게 경화한 고래시설이 확인된 것이 특징이다. 평면 형태는 방형으로, 두터운 벽이 연소실과 소성실 사이에 조성돼 있다. 벽 하단부에는 소성실·연소실로 연결된 여러 구의 불창이 확인됐다.

고려시대 가마는 능선의 중단부에 가장 넓게 분포돼 있고 소성실과 연소실이 수직 단벽으로 이뤄져 있다.

또 조사지역 가장 서쪽에서 확인되는 조선시대 기와기마는 전체 길이가 11m에 이르는 대형으로 소성실과 연소실의 높이차가 80㎝ 정도로 크고 수직벽으로 이뤄져 있는 특징이 있다.

김진열 군위군수는 “해당 지역은 생산유적과 건축유적의 연관성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고고학적 자료로 내년 상반기 추가 정밀 조사 및 동쪽 능선에 대한 확대 조사를 추진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대구 군위군 삼국유사면 인각사지에서 조사 발굴된 통일신라·고려·조선시대 기와가마터 항공사진. 군위군 제공
대구 군위군 삼국유사면 인각사지에서 조사 발굴된 통일신라·고려·조선시대 기와가마터 항공사진. 군위군 제공
대구 김상화 기자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