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약과 드셨다면… 명절 치아·구강 관리 주의보

떡·약과 드셨다면… 명절 치아·구강 관리 주의보

김동현 기자
김동현 기자
입력 2024-02-10 09:55
업데이트 2024-02-10 09: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달고 끈적한 음식 많아 세균 번식하기 좋아
양치 후 치간칫솔·치실 등으로 꼼꼼히 관리를

이미지 확대
설 명절을 앞둔 5일 서울 송파구 삼전초록어린이집에서 설빔을 입은 어린이들이 떡 담기를 하며 전통 문화 체험을 하고 있다. 2024.2.5 홍윤기 기자
설 명절을 앞둔 5일 서울 송파구 삼전초록어린이집에서 설빔을 입은 어린이들이 떡 담기를 하며 전통 문화 체험을 하고 있다. 2024.2.5 홍윤기 기자
맛있는 음식을 먹을 수 있는 설 명절은 구강질환에는 최대 고비다. 전문가들은 명절 음식을 먹고 난 후 고생하지 않으려면 더 꼼꼼하게 양치를 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특히 끈적한 떡이나 약과를 먹었다면 치실이나 치간칫솔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말한다.

10일 의료계에 따르면 명절에 즐겨 먹는 떡이나 한과, 고기, 술 등은 식후 구강질환을 유발할 수 있어 칫솔질에 신경써야 한다.

최근 젊은 층을 중심으로 다시 인기를 끌고 있는 전통 간식인 약과는 꿀이나 조청, 물엿 등이 발라져 있어 충치를 유발하는 당분 함량이 높다. 여기에 끈끈한 점착 성분 때문에 잔여 음식물이 치아에 달라붙어 입 안에 오래 남아 있을 수 있다. 떡국에 들어가는 떡 또한 마찬가지다.

여기에 고향에서 가족·친지들과 술을 한 잔 하고, 이에 끼기 쉬운 고기 안주까지 곁들인다면 더 꼼꼼한 칫솔질이 필요하다.

대한치의학회 김영석 이사는 “떡이나 한과는 오래 입 안에 남아 있으면서 세균이 증식하기 좋은 환경을 만든다”며 “알코올 성분은 입 안의 세균 군집 구성을 바꾸는데 이 때문에 치주질환 등의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고 말했다. 또 고기를 먹고 이쑤시개를 사용하면 자칫 잇몸에 자극을 주고 심하면 피가 날 수도 있으므로 치실이나 치간칫솔을 사용해 제거하는 것이 좋다고 김 이사는 권고했다.

구강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선 잇몸과 치아의 틈새, 치아 사이사이의 틈새를 닦는 것이 중요하다. 칫솔은 비스듬하게 기울여 칫솔모의 절반은 치아와 잇몸 사이에 닿고 절반은 잇몸에 닿도록 위치시켜야 한다. 진동을 주어 잇몸을 마사지하듯 닦은 후에는 치아의 씹는 면 쪽으로 쓸어내리면 된다.

치실은 치아를 C자 모양으로 감싸듯이 넣고 잇몸 속으로 깊숙이 눌러 한 치아당 위아래로 3회 정도 닦아내야 한다. 김 이사는 “나이가 들면 치아를 붙잡고 있는 뼈의 위치가 낮아지기 때문에 치아 틈새가 상대적으로 좁은 젊은 층은 치실, 어르신은 치간칫솔이 적합하다”며 “치실이나 치간칫솔을 쓰면 치아가 벌어진다는 것은 명백한 오해로, 오히려 구강질환으로 인해 치아가 벌어지는 문제를 막아준다”고 설명했다.
김동현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