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인 입학식’ 열린 4일 광주 중앙초에서 신입생 A군이 선생님과 인사하고 있다. 2025.3.4 광주교육청 제공
118년 전통을 자랑하는 광주 중앙초에서 지난 4일 단 한 명의 신입생을 위한 조촐한 입학식이 열렸다.
이날 중앙초 입학식에는 유일한 신입생인 1학년 A군과 학부모, 교사 등 학교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배창호 교장은 A군에게 직접 학용품 선물 등을 건넸다. 교사들은 A군과 1대1로 인사했다. 동급생 없이 홀로 입학하는 A군을 격려하기 위해 A군 조부모의 응원 영상도 소개되는 등 ‘1인 입학식’은 즐거운 분위기 속에서 열렸다.
지난해엔 세 명이 입학했다. 그마저도 올해는 A군 한 명으로 줄었다. 두 명의 학생이 A군과 함께 중앙초에 취학할 예정이었지만, 결국 인근 다른 초등학교로 가면서다.
같은 학년 친구는 없지만, 그나마 A군의 누나가 이 학교 6학년에 재학 중이어서 1년간은 등하교를 함께 할 수 있다.
A군은 국어 등 필수과목 수업은 선생님과 1대1로 받게 된다. 예체능 수업은 2학년 형·누나들과 함께한다.
광주 구도심 한가운데 위치한 중앙초는 한때 재학생이 5000여명에 달하는 ‘매머드 학교’였다.


‘1인 입학식’ 열린 4일 광주 중앙초에서 신입생 A군이 학교 생활에 대한 선생님의 설명을 듣고 있다. 2025.3.4 연합뉴스
을사조약 직후인 1907년 일본인 학교인 광주심상고등소학교로 출발해 학생 수가 가장 많았던 1970~1980년대에는 학급 수만 90개 이상이었다.
그러나 2000년대 들어 광주 외곽지대에 신도심이 조성되면서 구도심에서 인구가 빠져나가는 급격한 공동화 현상으로 직격탄을 맞았다.
중앙초의 전교생은 현재 23명이다. 교사 9명을 포함한 교직원은 28명으로 교직원이 학생보다 많다. 올해부터 전교생 30명 이하인 학교에는 교감을 배치할 수 없어 교사 수는 더 줄어들 수 있다.
학교 측은 학교 존폐와 직접 관련이 있는 신입생 유치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시교육청이 지급하는 입학지원금에 더해 학교 자체 예산으로 학용품 등을 지원하고, 동창회와도 논의해 단 한 명의 후배 교육에도 소홀함이 없도록 장학금을 마련할 방침이다.
배 교장은 “학교 혼자 힘으로 신입생을 늘리는 것은 불가능하다. 교육청은 물론 지자체·지역사회와 함께 신입생을 유치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며 “광주 중앙초 입학생들이 다양한 혜택 속에서 공부한다는 평가를 받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