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국민연금공단 지역본부 모습. 2025.2.20 뉴스1
국민연금으로 다달이 200만원 이상을 받는 수급자가 5만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국민연금공단의 ‘2024년 11월 기준 국민연금 통계’ 자료를 보면, 지난해 11월 말 기준 월 200만원 이상 국민연금 수급자는 4만 9374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체 수급자 699만 5544명의 0.7%에 해당한다.성별로는 남성이 4만 8489명(98.2%)으로 절대다수였다. 여성은 885명(1.8%)에 그쳤다.
과거 국민연금이 도입된 이후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여성이 많지 않았으며 주로 임금이 낮은 일자리를 담당한 데다 결혼·출산 등으로 경력 단절도 많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월 200만원 이상 국민연금 수급자는 1988년 국민연금제도 시행 30년 만인 2018년 1월에 처음 나온 이후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2018년엔 10명에 나왔고 2019년 98명, 2020년 437명, 2021년 1355명, 2022년 5410명 등으로 꾸준히 늘었다. 2023년에는 1만 7810명으로 껑충 뛰었다.
20년 이상 장기 가입으로 노령연금(연금 받을 나이에 도달했을 때 받는 일반적 형태의 국민연금)을 타는 사람이 계속 늘어난 데다, 물가 인상에 맞춰 해마다 기본연금액이 꾸준히 오른 결과다.
연금 액수를 늘리는 데는 무엇보다 가입 기간이 중요하다.
신규 수급자가 매달 받는 연금액별로 평균 가입 기간이 얼마나 되는지 보면 2022년 기준으로 월 수급액별 평균 가입 기간은 ▲70만~80만원 미만 269개월 ▲80만~90만원 미만 285개월 ▲90만~100만원 미만 300개월 ▲100만~150만원 341개월 ▲150만~200만원 미만 385개월 등이었다.
국민연금공단 산하 국민연금연구원이 지난해 12월 공개한 제10차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를 보면, 50대 이상 중장년층이 건강한 상태에서 주관적으로 생각하는 개인 기준 노후 필요한 최소 생활비는 월 136만 1000원, 적정 생활비는 192만 1000원으로 나타났다. 전국 50대 이상 가구원이 있는 5331가구와 그에 속한 50대 가구원 및 그 배우자 8736명을 대상으로 소득과 소비, 노후 준비 상태 등을 설문한 결과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