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 안 돼서 숨어 살아요”…외로운 청년들, 결혼·출산 의향도 ‘뚝’

“취업 안 돼서 숨어 살아요”…외로운 청년들, 결혼·출산 의향도 ‘뚝’

류재민 기자
류재민 기자
입력 2025-03-11 22:49
수정 2025-03-11 22:4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고립·은둔 청년 2년 전보다 2배 이상 늘어
취업 어려움 겪어…정신건강도 같이 악화
만 19~35세 청년 1만5000가구 대상 조사

이미지 확대
고립 청년 이미지. 픽사베이 제공
고립 청년 이미지. 픽사베이 제공


지난해 고립·은둔 청년의 비율이 2년 전보다 2배 이상으로 증가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국무조정실이 11일 공개한 ‘2024년 청년의 삶 실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거의 집에만 있는 청년’(임신·출산·장애 제외)은 5.2%로 집계됐다. 이는 2022년 조사 당시 2.4%보다 2배 이상 높아진 수치다. 집 밖에 나오지 않는 청년도 0.9%에 달했다.청년들이 숨어 지내는 이유는 ‘취업이 잘되지 않아서’가 1위(32.8%)로 나왔다. ‘인간관계의 어려움’이 2위(11.1%), ‘학업중단’이 3위(9.7%)로 뒤를 이었다.

고립·은둔 청년의 비율이 늘어나면서 정신건강도 나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자살을 생각한 경험이 있는 청년 비율이 2022년 2.4%였는데 이번에는 2.9%로 높아졌다. 우울 증상 유병률도 2022년 6.1%에서 2024년 8.8%로 뛰었다.

청년들의 결혼 계획 및 출산 의향도 줄었다. 미혼 청년 가운데 향후 결혼 계획이 있다고 답한 비율은 2022년 75.0%에서 지난해 63.1%로 내려갔다. 자녀 출산 의향이 있는 청년 비율 역시 같은 기간 63.3%에서 59.3%로 떨어졌다.

청년 가구 월평균 생활비는 213만원이고, 개인 평균 소득은 2625만원, 평균 부채는 1637만원, 평균 재산은 5012만원으로 조사됐다. 월 소득은 남성이 288만원, 여성이 242만원이었고 수도권이 274만원, 비수도권이 255만원으로 성별·지역별 격차도 나타났다. 취업자(수입을 목적으로 1시간 이상 일한 경험) 비율은 67.7%로 2022년 대비 0.3%포인트 증가했다.

독립해서 사는 청년은 45.6%로 이 가운데 자가를 보유한 비율이 49.6%, 전세 23.8%, 월세 23.8%로 나타났다. 물가가 상승하면서 이직에 영향을 미치는 1순위 요소로 임금을 고려하는 비율도 2022년 48.5%에서 2024년 57.9%로 늘었다. 빨리 돈을 벌고 싶은 청년이 늘어나면서 고졸 이하 청년 비율도 2022년 14.6%에서 2024년 17.4%로 상승했다.

여러 지표가 악화한 가운데 청년들이 평소 건강하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좋아졌다. 주관적 건강인식이 좋다고 답한 비율이 2022년 54.5%에서 2024년 61.1%였다. 나쁘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거의 같았지만 보통이라고 생각하는 비율이 2022년 38.4%에서 2024년 31.7%로 낮아지면서 더 많은 청년이 건강하다고 느끼게 됐다.

팍팍한 삶의 와중에도 청년들은 바라는 삶의 요소(중복응답)로 일자리(95.9%), 인간관계(94.7%), 소득과 자산(93.0%), 연애(78.3%), 결혼(74.4%), 사회기여(71.8%), 출산·양육(69.0%) 등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청년들은 취업 등 경제적인 면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며 이것이 해결되기를 바라고 있었다.

2022년 처음 시작한 ‘청년의 삶 실태조사’는 국가승인통계로 2년마다 작성·공표된다. 국무조정실이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과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17개 시·도의 만 19~34세 청년 가구원이 있는 약 1만 5000가구를 표본으로 선정해 조사가 진행됐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2 / 5
상속세 개편안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상속되는 재산에 세금을 매기는 유산세 방식이 75년 만에 수술대에 오른다. 피상속인(사망자)이 물려주는 총재산이 아닌 개별 상속인(배우자·자녀)이 각각 물려받는 재산에 세금을 부과하는 방안(유산취득세)이 추진된다. 지금은 서울의 10억원대 아파트를 물려받을 때도 상속세를 내야 하지만, 앞으로는 20억원까진 상속세가 면제될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속세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동의한다.
동의 못한다.
2 / 5
2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