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 발표
학생 8만명 줄었는데 7.7% 증가
참여율 80% 넘어…지역·소득 양극화


배동인(오른쪽) 교육부 정책기획관이 13일 정부세종청사 교육부 브리핑실에서 2024년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 결과와 관련한 설명을 하고 있다. 왼쪽은 송근현 디지털교육기획관. 연합뉴스
지난해 초·중·고교생 사교육비가 29조원을 넘어서며 4년 연속 최고치를 경신했다. 1인당 월평균 지출액은 물론 참여율도 늘어 처음으로 80%를 넘겼다. 지난해 의대 정원 증원을 비롯한 대입 불확실성이 사교육비를 끌어올렸다는 분석이 나온다.
교육부와 통계청은 13일 이런 내용의 ‘2024년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를 발표했다. 조사는 전국 초·중·고 약 3000개 학교 학생 약 7만 40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1년 사이 학생 수는 521만명에서 513만명으로 8만명(1.5%) 줄었는데 사교육비 총액은 오히려 늘어났다. 사교육비 총액 규모는 2021년(23조 4000억원), 2022년(26조원), 2023년(27조 1000억원)에 이어 지난해 29조 2000억원으로 전년보다 2조 1000억원(7.7%) 증가했다.
학교급별 사교육비 총액을 보면 초등학교는 13조 2000억원, 중학교 7조 8000억원, 고등학교 8조 1000억원을 기록했다. 증가세도 초중고 모두에서 나타났다. 증가 폭은 중학교가 9.5%로 가장 컸고 이어 고등학교(7.9%), 초등학교(6.5%) 순이었다. 사교육 참여율과 참여 시간 역시 모든 학교급에서 증가했다. 사교육 참여율은 전년보다 1.5%포인트 상승한 80.0%로 역대 최고치였다.
학교급별로 보면 초등학교 사교육 참여율이 1.7%포인트 상승한 87.7%로 가장 높았다. 중학교는 2.7%포인트 오른 78.0%, 고등학교는 0.9%포인트 증가한 67.3%다.


연합뉴스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9.3% 증가한 47만 4000원으로 조사됐다. 초등학교는 44만 2000원(11.1%↑), 중학교는 49만원(9.0%↑), 고등학교 52만원(5.8%↑)으로 모든 학교급에서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가 늘었다. 사교육 참여 학생으로 좁혀보면 1인당 사교육비는 59만 2000원으로 7.2% 증가했다.
의대 정원 증원이 사교육비 상승에 영향을 준 것 아니냐는 분석에 대해 교육부 관계자는 “의대 입시 준비를 위한 사교육은 최상위 1~3% 학생들 중심으로 이뤄져 의대만의 문제라고 보기는 어렵다”며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는지 더 면밀한 분석을 해보겠다”고 말했다.
소득에 따른 양극화도 뚜렸했다. 월평균 소득이 가장 높은 ‘800만원 이상’ 가구의 사교육비 지출은 67만 6000원으로 전체 구간에서 가장 높았다. 반면 월평균 소득 ‘300만원 미만’ 가구는 20만 5000원으로 최저였다. 이는 ‘800만원 이상’ 가구의 3분의1 수준이다.
사교육 참여율 역시 월평균 소득 ‘800만원 이상’에서 87.6%로 최고였고, ‘300만원 미만’에서 58.1%로 최저를 기록했다. 시도별로 보면 전체 학생 기준 서울의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가 67만 3000원으로 전국 최고였다. 가장 낮은 전남(32만원)보다 2.1배 많다. 사교육 참여 학생을 기준으로 보면 서울 학생의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78만 2000원으로 치솟았다.
어학연수를 보낸 비용도 전년 대비 늘었다. 지난해 어학연수 총액은 1~5월, 7~9월을 합산한 기준 2832억원으로 전년보다 75.0% 증가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사교육비 총액과 참여율이 증가한 부분에 대해 무겁게 받아들이고 국민께 송구스러운 마음”이라며 “최소한 물가상승률 아래로는 관리해야겠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고 덧붙였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