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말 발표 예정됐던 ‘무안공항 재개항 로드맵’ 내달 이후로 늦춰질 듯
로드맵 나오면 국제선 취항 요청서 제출하려던 광주시, 속절없이 한숨만
국토부 “최대한 빨리 발표할 것”…10월 광주공항 국제선 운항 ‘빨간불’


국제선 유치가 추진중인 광주공항 전경. 광주광역시 제공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를 계기로 ‘광주공항 국제선 임시 유치’에 나선 광주시가 ‘대답없는’ 국토부만 바라보며 한숨을 내쉬고 있다.
26일 광주시와 국토부 등에 따르면, 이달말 발표가 예정됐던 국토부 ‘무안공항 재개항 로드맵’이 아직까지 확정되지 않은데다 발표시기도 불확실한 것으로 확인됐다.이와 관련 국토부 관계자는 “잠정적으로 이달 말까지 발표하기로 했던 ‘무안공항 재개항 로드맵’은 내부적으로 검토해야 할 부분이 있어 아직까지 미정”이라며 “최대한 빨리 발표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지만 날짜나 시기를 정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오는 10월부터 광주공항 국제선 운항’을 목표로 추진중인 광주시 계획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국토부 발표가 늦춰질수록 국제선 운항 준비를 할 수 있는 물리적 시간도 부족해질 수 밖에 없어서다.
광주시는 지난 5일 국토부를 방문해 ‘무안국제공항이 정상 개항할 때까지 광주공항에서 국제선을 임시로 운항할 수 있도록 해줄 것’을 공식 건의했지만 ‘국제선 취항 계획서 제출’과 같은 정식 행정절차 착수까지는 시간을 두기로 했었다.
국토부가 3월말까지 무안공항 재개항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힌 데 따른 것이다.
광주시는 당시 ‘무안공항 재개항 로드맵이 나오면 시민들이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는 안전한 공항이 될 수 있을지 여부를 판단한 뒤, (아니라고 판단된다면) 국제선 취항 계획서 제출과 같은 정식 절차를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었다.
광주시 관계자는 “국토부의 로드맵 발표가 4월 이후로 늦춰지면 ‘오는 10월 광주공항 국제선 취항’ 준비에 필요한 절대적인 시간도 부족해질 수 밖에 없다”며 “현재로선 국토부 발표를 지켜보는 것 외에 특별한 대책이 없어 답답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한편, 광주시는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로 무안국제공항 운영이 중단됨에 따라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지역 여행업계 피해 회복과 시민들의 국제선 이용 편의를 위해 광주공항 국제선 임시 취항을 추진하고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