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새우 날 것으로 먹은 60대 비브리오 패혈증 사망

바다새우 날 것으로 먹은 60대 비브리오 패혈증 사망

강동삼 기자
강동삼 기자
입력 2022-08-05 17:57
수정 2022-08-07 22:4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서울신문DB
서울신문DB
전남지역에서 바다새우를 날 것으로 먹은 60대 남자가 비브리오 패혈증으로 사망했다.

5일 전남도에 따르면 전남 영광의 한 의료기관에서 비브리오패혈증 진단을 받고 치료 중이던 60대 남자 A씨가 지난달 29일 사망했다.

간경화 등 기저질환이 있던 A씨는 지난달 27일 바다새우를 생으로 섭취한 뒤 다음날 구토와 손발 저림 증상으로 인근 의료기관을 방문했던 것으로 파악됐다.

비브리오패혈증은 해수 온도가 18도 이상 상승하는 5월부터 6월쯤 발생하기 시작하며 여름철인 8, 9월에 집중적으로 환자가 나온다. 주요 감염 원인은 어패류 섭취, 피부 상처와 바닷물의 접촉 등이다. 만성 간 질환자, 알콜중독자, 당뇨병 등 기저질환이 있는 고위험군 환자의 경우 치사율이 50%까지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비브리오패혈증 예방을 위해선 ▲어패류 충분히 익혀 먹기 ▲5도 이하 저온 보관 ▲어패류 조리 시 장갑 착용, 칼·도마 등 소독 후 사용 ▲요리 피부 상처 있을 경우 바닷물에 접촉하지 않기 등을 주의해야 한다.

문권옥 전남도 감염병관리과장은 “반드시 어패류는 흐르는 물에 잘 씻어 충분히 익혀 먹어야 한다”며 “여름 휴가철을 맞아 간질환 등 고위험군은 바닷물 입수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2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1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