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국인 1380만명 카드 소비액 전년대비 16.6% 늘어
연간 1000억원 이상 쓴 지역도 4곳서 11곳으로 증가
![한국계 귀신고래 이미지를 형상화한 이재형 작품 ‘희망 아래서’가 있는 제주국제공항 3층 출발장의 모습. 제주 강동삼 기자](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5/25/SSC_20230525132953_O2.jpg)
![한국계 귀신고래 이미지를 형상화한 이재형 작품 ‘희망 아래서’가 있는 제주국제공항 3층 출발장의 모습. 제주 강동삼 기자](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5/25/SSC_20230525132953.jpg)
한국계 귀신고래 이미지를 형상화한 이재형 작품 ‘희망 아래서’가 있는 제주국제공항 3층 출발장의 모습. 제주 강동삼 기자
제주특별자치도와 제주관광공사는 25일 2014~2022년 신한카드 매출액 집계 데이터를 토대로 2014~2022년 제주방문 관광객 신용카드 소비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해 제주방문 내·외국인 관광객 전체의 신용카드 소비금액은 2021년 대비 16.6% 증가한 약 3조 4400억 원으로 추계됐다.
지난해 내국인 관광객 1380만명의 카드 소비금액은 3조 2780억 원으로 추계 됐으며, 전년 대비 14.1%, 2020년 대비 50.1% 증가했다. 신용카드 매출 빅데이터를 수집한 2014년 이래 가장 많은 소비액이다.
반면 지난해 외국인 관광객(8만 6000명) 카드 소비금액은 1620억 원으로 전년 대비 113.2% 증가했으며 2020년 대비 61.4% 감소했다.
![2014년(왼쪽)과 2022년 이용 지역별 카드 소비금액 단계구분도. 2022년에는 2014년 대비 진한 초록색 부분이 더 넓어졌다. 제주관광공사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5/25/SSC_20230525132955_O2.jpg)
![2014년(왼쪽)과 2022년 이용 지역별 카드 소비금액 단계구분도. 2022년에는 2014년 대비 진한 초록색 부분이 더 넓어졌다. 제주관광공사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5/25/SSC_20230525132955.jpg)
2014년(왼쪽)과 2022년 이용 지역별 카드 소비금액 단계구분도. 2022년에는 2014년 대비 진한 초록색 부분이 더 넓어졌다. 제주관광공사 제공
특히 신용카드 데이터를 집계한 2014년과 비교해보면, 2014년 연간 1000억 이상 소비 지역은 노형동, 연동, 용담2동, 예래동 4개 동(洞) 지역에 국한됐으나, 지난해에는 애월, 한림, 안덕, 표선, 성산, 구좌읍 등 도내 11곳의 읍·면·동으로 확대됐다.
제주관광공사 관계자는 “올해에는 국제 크루즈선 기항, 제주 기점 해외 직항노선 운항 재개 등 해외 관광시장이 활성화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신용카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내·외국인 관광객의 제주 관광산업 업종별, 지역별 매출 규모를 공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