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 기자 제도를 운영한 매체의 특성 때문”
“많은 기사가 기존 임직원 계정으로 분산돼”
![김행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지난 15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출근하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9/15/SSC_20230915222357_O2.jpg)
![김행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지난 15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출근하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9/15/SSC_20230915222357.jpg)
김행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지난 15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출근하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 후보자는 25일 오전 서울 종로구 이마빌딩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단 사무실로 출근하는 길에 기자들과 만나 “위키트리는 2만 3000여명의 시민 기자들이 기사를 쓰고 고치며 성장하는 ‘개방형 플랫폼’으로 기존 미디어와는 다르다”고 말했다.
그는 “기존의 레가스 미디어의 시각으로 위키트리를 이해하면 안 된다”면서 “2019년도까지 시민 기자들이 아무나 들어와서 닉네임으로 기사를 쓰고 위키피디아처럼 기사를 고치는 모델이었는데, (기사 내용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열린 플랫폼’에서 ‘닫힌 플랫폼’으로 시스템을 바꿨다. 이후에는 언론사에서 30년 넘는 경력 기자들을 옴부즈맨으로 채용하고, 잘못 쓰는 기사들을 점검했다”고 설명했다.
위키트리에서 ‘김행 기자’의 이름으로 성차별적인 기사가 여럿 검색된다는 사실에 대해선 “시민 기자 제도를 운영한 매체의 특성 때문”이라며 “열린 플랫폼에서 닫힌 플랫폼으로 바꾸는 과정에서 2만 3000여명의 시민 기자 계정을 없앴고, 당시 트래픽이 높았던 많은 기사가 기존 임직원의 계정으로 분산됐다”고 말했다.
김 후보자는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장으로 재직하던 당시 자신이 창업한 소셜홀딩스와 양평원이 1900만원짜리 수의계약을 맺었다는 ‘일감 몰아주기’ 의혹에 대해 “외압이 불가능한 시스템”이라고 밝혔다.
그는 “정부 공공기관 입찰 시스템에는 부장급들도 관여를 안 하고, 실무자부터 원장으로 오기까지 단계별로 많은 결재 과정이 있다”며 “양평원에서 가장 성공한 프로그램인 ‘젠더 온’은 내가 만든 모바일 교육 플랫폼으로 그 전에는 대면 교육만 했다. 급히 플랫폼을 유지·보수할 수 있는 업체를 찾아야 해서 실무자가 3개 회사에 접촉해 견적서와 제안서를 받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양평원의 수의계약 한도는 2000만원이 아닌 3000만원이고 모든 수의계약은 여가부 감사를 받게 돼 있다”며 “3개 회사가 3000만원 가까이 견적서를 냈는데 실무자 선에서 경쟁 제안서를 낸 나머지 2곳이 더 비싸고 (소셜홀딩스가) 실력 면에서 더 낫다고 해서 소셜홀딩스로 결정했다고 한다”고 설명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