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프랑스에서 만난 파리 교육청 소속 장학사에게 “현재 프랑스 교육의 가장 큰 고민이 무엇이냐.”고 물었습니다.
돌아온 대답은 예상 외로 ‘학생들의 인성 파괴’ 현상을 꼽았습니다. 그는 한 달 전 파리 외곽의 한 중학교에서 동기를 흉기로 찔러 살해한 교내 폭력 사건을 예로 들며, “잔인한 대중문화의 영향도 무시할 수 없지만, 성적과 대학진학만을 지상 목표로 내건 우리 교육도 반성해야 할 때가 온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왠지 남의 일 같지 않은 얘기에 한국의 최근 교육 관련 뉴스 제목들이 떠올랐습니다.
‘학생 자살률 급증’, ‘왕따 친구 집단 폭행’…. 해외유학이다 사교육이다 해서 여느 때보다 똑똑해진 우리 아이들을 보면 일면 대견하다가도, 입시와 성적에만 몰두하는 학교 현실에 따라 인성 교육의 기회를 놓치는 것 아닌지 걱정도 듭니다.
프랑스의 고민처럼 우리도 소잃고 외양간을 고치게 되는 것은 아닐까요.
최재헌기자 goseoul@seoul.co.kr
돌아온 대답은 예상 외로 ‘학생들의 인성 파괴’ 현상을 꼽았습니다. 그는 한 달 전 파리 외곽의 한 중학교에서 동기를 흉기로 찔러 살해한 교내 폭력 사건을 예로 들며, “잔인한 대중문화의 영향도 무시할 수 없지만, 성적과 대학진학만을 지상 목표로 내건 우리 교육도 반성해야 할 때가 온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왠지 남의 일 같지 않은 얘기에 한국의 최근 교육 관련 뉴스 제목들이 떠올랐습니다.
‘학생 자살률 급증’, ‘왕따 친구 집단 폭행’…. 해외유학이다 사교육이다 해서 여느 때보다 똑똑해진 우리 아이들을 보면 일면 대견하다가도, 입시와 성적에만 몰두하는 학교 현실에 따라 인성 교육의 기회를 놓치는 것 아닌지 걱정도 듭니다.
프랑스의 고민처럼 우리도 소잃고 외양간을 고치게 되는 것은 아닐까요.
최재헌기자 goseoul@seoul.co.kr
2010-08-17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