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대회 입상 음악교사 3인3색 노하우
음악에는 힘이 있다. 1975년 베네수엘라 빈민가에서 시작된 음악교육 프로그램 ‘엘 시스테마’는 빈민가 아이들을 변화시켰을 뿐 아니라 구스타보 두다멜 같은 유명한 음악가를 배출하기도 했다. 음악을 연주하면서 스스로를 표현하는 방법을 배우고 다른 사람과 함께하면서 자긍심과 창의력, 협동심을 익히게 된다. 하지만 우리 수업 현실은 이런 음악의 힘과는 거리가 있다. 음악수업을 강조하면 당장 “음악으로 대학 갈 것도 아닌데.”라는 볼멘소리가 나오기 일쑤다.이런 척박한 음악수업 환경에서도 여러 방법으로 아이들에게 음악의 힘을 가르쳐 주는 교사들도 있다. 2010학년도 서울시교육청 교사 연구대회에서 우수 입상한 3명의 초등학교 교사들의 음악 활용법을 들여다봤다.
●상봉초등학교 김주선 교사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1/03/08/SSI_20110308023514.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1/03/08/SSI_20110308023514.jpg)
김 교사는 음악의 기초를 익힐 수 있도록 교실환경을 꾸몄다. 또 음표게임 등을 만들어 자칫 딱딱하기 쉬운 음악이론을 게임과 접목시켜 아이들이 자연스럽게 음표와 쉼표의 길이, 계이름, 화음 등을 체험할 수 있게 했다. ‘리코더 이끄미’도 만들었다. 리코더를 잘 연주하는 6명을 리코더 이끄미로 정하고 이들이 리코더 배우미들에게 가르쳐 주고 함께 연습했다. 김 교사는 “혼자 연주하면 긴장하던 학생들도 친구들과 함께 연주하면서 적극적이고 자신감이 있게 변했다.”면서 “수업시간에 전혀 움직임이 없고 참여가 저조했던 학생들도 리코더를 연습하고 발표를 하면서 음악에 대한 새로운 시각은 물론 자신감과 성취감을 갖게 됐다.”고 말했다.
●신서초등학교 김은영 교사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1/03/08/SSI_20110308023634.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1/03/08/SSI_20110308023634.jpg)
김 교사도 교실 곳곳에 음악기초이론과 음악회 소식 등을 적어 놓았다. 온라인 학급 홈페이지도 이용했다. 학급 홈페이지에 개인연주나 학급연주 모습을 담은 동영상과 사진을 올려놓았다. 또 학급악기로 정한 핸드벨로 가족들이 동요를 연주하는 ‘가족연주’도 좋은 호응을 얻었다.
학급 악기인 핸드벨은 인성교육에도 유용했다. 핸드벨은 혼자서 연주하기보다는 여러 사람이 함께 하나의 가락을 연주한다는 점에서 협동심을 기르고 상대방을 배려할 수 있는 마음가짐을 길러 인성시범학교 학급특색활동으로 꼽히기도 했다. 김 교사는 “최근에는 인터넷과 컴퓨터를 이용한 ICT교육이 활성화되면서 교사가 시범연주를 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리듬 및 가락반주 자료가 보급되어 있다.”면서 “하지만 음악의 본질인 감성의 상호작용은 교사와 학생 사이의 직접적인 호흡으로 이뤄져야 극대화된다.”고 강조했다.
●상천초등학교 김명희 교사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1/03/08/SSI_20110308023716.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1/03/08/SSI_20110308023716.jpg)
아이들은 다양한 음악내용을 수집해 미니북을 만들었다. 들었던 음악내용을 주제로 매달 음악 신문도 만들었다. 자투리 시간에는 아이들이 좋아하는 창작동요와 건전가요를 부르는 노래방도 운영했다. 실감 나는 효과를 위해 대형 스피커와 마이크도 갖췄다. 또 문예진흥원과 연계해 국악 전문강사를 초빙, 전문강사의 대금, 단소 등 국악기 실제연주를 감상하면서 아이들은 국악과 친해지는 시간을 갖기도 했다. 컴퓨터 시간도 음악프로그램을 이용해 스스로 음악을 만들고 다른 아이들이 만든 곡과 비교하는 ‘내가 만드는 노래’도 운영했다. 김 교사는 “한해가 끝난 뒤 모든 반 학생들이 2마디 이상의 리듬이나 가락을 만들 수 있다고 답했다.”면서 “또 음악적 흥미도와 자신감이 크게 높아졌다.”고 말했다.
김효섭기자 newworld@seoul.co.kr
2011-03-08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