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서 남극 내려다봤더니 황제펭귄 숫자 60만마리

우주서 남극 내려다봤더니 황제펭귄 숫자 60만마리

입력 2012-04-17 00:00
업데이트 2012-04-17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기존 추정치보다 두배 많아

사람이 살지 않는 혹한의 땅 남극. 이 땅의 주인으로 불리는 황제펭귄은 미지의 대상을 탐구하는 과학자들에게는 가장 매력적인 연구 대상으로 꼽힌다. 그러나 사람이 만든 전자기기나 연구장비가 무용지물이 되기 일쑤인 남극대륙이라는 특성상 황제펭귄은 그 수가 얼마인지조차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다. 영국과 미국, 호주 과학자들은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황제펭귄 무리 안에 들어가는 대신 우주에서 내려다본 사진을 이용하는 방법을 고안해냈다. BBC 등 외신들은 연구진들이 이 같은 방법을 통해 남극대륙의 황제펭귄이 지금까지 알려진 것보다 2배 정도 많은 60만 마리에 이른다는 연구결과를 얻었다고 16일 전했다. 연구결과는 미공공과학도서관 학술지 ‘플러스 원’에 실렸다.

과학자들은 하얀색으로 뒤덮인 남극대륙 전체를 촬영해 집단으로 거주하는 황제펭귄 서식지 44개를 찾아냈다. 이 중에는 지금까지 인간이 발견하지 못한 서식지 7곳이 포함돼 있다. 지상의 작은 물체까지 쉽게 식별할 수 있는 고해상도 카메라가 위성에 장착돼 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연구팀 관계자는 “흰 얼음판 위에 큰 갈색 반점으로 나타나는 펭귄의 배설물을 통해 위치를 비교적 쉽게 파악할 수 있었다.”면서 “이 같은 방법으로 펭귄의 이동경로나 건강상태까지도 체크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이어 “무엇보다 사람의 영향을 최소한으로 하면서 황제펭귄을 연구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발견했다는 의미가 있다.”고 덧붙였다.

연구팀은 이 같은 과정을 거쳐 황제펭귄이 59만 5000여마리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기존 과학자들의 추정치인 27만~35만 마리의 2배에 이르는 수치다. 이와 함께 남극대륙의 얼음이 기후변화와 지구온난화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안정적이지만, 지구 온난화로 인해 북부 지역에서 취약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는 증거도 발견됐다.

박건형기자 kitsch@seoul.co.kr



2012-04-17 25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