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재홍 기자의 교육 생각] 새 학기 학부모들 ‘카톡방’ 몇몇 엄마가 학교운영 주도…봉사 명분 떠넘기기 없어야

[박재홍 기자의 교육 생각] 새 학기 학부모들 ‘카톡방’ 몇몇 엄마가 학교운영 주도…봉사 명분 떠넘기기 없어야

박재홍 기자
박재홍 기자
입력 2018-04-12 18:06
업데이트 2018-04-13 02: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학기 초 카톡방은 몇몇 보통 한두 엄마가 주도해 1년이 결정돼요. 초반에 나서지 못하면 이후 1년은 목소리 내는 건 사실상 단념해야 한다더라고요.”

수도권의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를 둔 한 학부모는 직장 일이 바빠 학기 초에 학부모 카톡방에서 적극적으로 활동하지 않았더니 한 달이 지난 지금은 학교 문제와 관련해 목소리를 내려 해도 눈치가 보인다고 하소연했다.

새 학기와 함께 개설되는 학급 학부모 카톡방은 치열한 ‘눈치 싸움’ 전쟁터가 된다. 녹색어머니회, 학부모 폴리스, 학생 동아리 컨설팅, 진로교육, 명예 사서, 급식 모니터링 등 학부모들이 학교에서 해야 할 일이 워낙 많아 이를 분담하기 위한 논의를 해야 하기 때문이다. 워킹맘들도 많다 보니 전업주부들 중 학교 활동에 적극적인 의사를 보이는 몇몇 학부모가 자연스럽게 논의를 주도한다.

그러다 보면 학교 활동에 참여하지 못하는 워킹맘들은 자연스럽게 부채의식을 갖게 된다. ‘학교 활동에 참여도 못하는데 의견을 내면 다른 엄마들이 수군거릴 것 같아’ 학교 운영과 관련해 이야기를 하고 싶은 게 있어도 참는다는 것이다.

학부모들의 학교 활동 참여는 대부분 학교에서 자율적으로 이뤄진다. 하지만 학교에서 학부모들의 학교 참여 활동 독려가 일방적으로 이뤄지다 보니 활동을 하게 되는 일부 학부모들에게 그 부담이 몰리고, 그 일부 학부모들이 학교 운영을 주도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서울의 한 초등학교 교사는 “교사 입장에서도 학부모들에게 학교 활동을 부탁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어쩔 수 없이 하시던 분들에게 부탁을 더 많이 하게 된다”면서 “그러면 결국 그분들의 목소리가 학교 운영에 더 많이 반영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녹색어머니회의 경우 매일 아침 등교지도 등을 해야 하기 때문에 부담이 많아 전체 학부모들이 돌아가면서 하도록 의무활동처럼 된 학교도 많다. 때문에 여기에 참여하지 못하는 학부모들이 2만~3만원을 주고 ‘등교지도 알바’를 고용하기도 한다.

서울의 또 다른 초등학교 교사는 “도서관 사서나 동아리 컨설팅 등은 굳이 학부모가 아니더라도 학교에서 인력을 고용해 해결할 수 있는 문제”라면서 “학부모들의 학교 운영 참여는 원칙적으로는 더 확대하는 것이 맞지만 현실을 반영하지 않고 ‘봉사’라는 명분으로 일을 떠넘기다 보니 학부모나 교사들 모두 힘들어지는 것”이라고 말했다.

maeno@seoul.co.kr
2018-04-13 23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