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언·사이버 괴롭힘… 학폭, 더 어려지고 교묘해졌다

폭언·사이버 괴롭힘… 학폭, 더 어려지고 교묘해졌다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19-08-27 21:16
수정 2019-08-28 01: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초4~고3 대상 학교폭력 실태조사

6만명 경험… 감소하다 최근 2년새↑
초등학생 3.6% 겪어 증가세 가장 빨라
폭행·금품갈취 줄고 정서적 폭력 증가
언어폭력 35%… 집단따돌림 뒤이어
이미지 확대
초등학생 사이에서 학교폭력이 급증하며 학교폭력의 ‘저연령화’가 뚜렷해지고 있다. 또 신체폭행 등 눈에 보이는 폭력이 줄어든 대신 ‘왕따’와 사이버 괴롭힘 등 눈에 보이지 않는 폭력이 만연해지면서 한동안 감소세였던 학교폭력이 최근 2년 새 다시 증가하고 있다.

27일 교육부가 공개한 ‘2019년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국의 초등학교 4학년~고등학교 3학년 학생의 1.6%(약 6만명)가 지난해 2학기부터 올해 4월까지 “학교폭력 피해를 당한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

실태조사는 초등 4학년~고교 3학년 410만여명을 대상으로 지난 4월 한 달 동안 실시됐으며 전체 학생의 90.7%인 약 372만명이 참여했다.

2012년 첫 조사 때 12.3%였던 학교폭력 피해 응답률은 2017년 0.7%까지 꾸준히 감소해왔으나 지난해 1.3%로 6년 만에 반등한 데 이어 올해까지 2년 연속 증가세로 돌아섰다.

특히 초등학교(3.6%)에서 지난해 0.7% 포인트, 올해 0.8% 포인트 늘어나는 등 증가세가 가장 빨랐다. 중학교는 0.8%로 지난해에 비해 0.1% 포인트 증가했으며 고등학교는 0.4%로 지난해와 같았다. “학교폭력을 가한 적이 있다”고 응답한 학생도 지난해 1만 3000명(0.3%)에서 올해 2만 2000명(0.6%)으로 증가했다.

학교폭력의 유형도 물리적 폭력에서 정서적 폭력으로 바뀌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학교폭력 피해 유형을 학생 1000명당 응답 건수로 분석한 결과 ‘집단 따돌림’이 2017년 3.1건에서 지난해 4.3건, 올해 5.3건으로 전체 피해유형 중 유일하게 증가세였다.

반면 ‘신체 폭행’은 2013년 4.7건에서 올해 2.0건으로, 금품갈취는 4.0건에서 1.4건으로 줄었다. 전체 피해 유형 중 언어폭력(35.6%)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집단따돌림(23.2%), 사이버 괴롭힘(8.9%), 스토킹(8.7%) 등이 뒤를 이었다.

한편 학교폭력 피해 사실을 주위에 알리거나 신고했다고 응답한 비율은 81.8%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윤숙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학교폭력예방교육지원센터장은 “학교폭력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져 가해 응답률이 늘고 학교폭력을 외면하지 않는 경향도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교육부는 1차 전수조사에 이어 하반기에 2차 표본조사를 벌이고 올해 말 ‘제4차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 기본계획(2020~2024년)을 수립, 발표할 계획이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2019-08-28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