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위드 코로나’ 언제쯤 … 수능이 변수·마스크는 계속 써야

‘학교 위드 코로나’ 언제쯤 … 수능이 변수·마스크는 계속 써야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21-10-25 14:00
업데이트 2021-10-25 14: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수도권 등교 확대·체험학습 등 정상화
수능·겨울방학 등 고려 … 11월 초 ‘위드 코로나’는 어려울 듯

이미지 확대
초등학교 등교 본격화 ‘교실로 향하는 아이들’
초등학교 등교 본격화 ‘교실로 향하는 아이들’ 23일 오전 서울 시내의 한 초등학교에서 2학기 개학을 맞은 아이들이 등교하고 있다. 2021.8.23 뉴스1
정부의 ‘위드 코로나’ 기조에 맞춰 학교도 단계적 일상 회복을 준비한다. ‘퐁당퐁당 등교’가 이어졌던 수도권 학교의 등교를 늘리고 모둠활동과 체험학습 등 다양한 활동을 정상화하는 것이 골자다. 다만 대학수학능력시험(11월 18일) 이전에 등교 확대 등의 조치가 이뤄질 가능성은 높지 않다. 교실 내 마스크 착용도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교육부는 이달 중 ‘교육분야 단계적 일상회복 방안’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25일 밝혔다. 이에 앞서 교육부는 이날 제2차 교육회복지원위원회를 개최하고 학교의 일상 회복에 필요한 사항들을 논의했다. 전반적인 단계적 일상회복 추진에 맞춰 학교 방역 체계를 유지하면서도 ▲상대적으로 등교가 위축됐던 지역(수도권)의 등교 추가 확대 방안 ▲교과·비교과 활동 전반의 교육활동 정상화 방안을 마련하겠다는 게 교육부의 구상이다.

다만 정부의 단계적 일상회복이 시작되는 11월 초에 맞춰 학교의 방역 조치가 완화될 가능성은 낮다. 교육부 관계자는 이날 브리핑에서 “수능과 기말고사, 겨울방학 등 주요 학사일정을 고려해서 시기를 검토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학교 밀집도 기준이 변경될때마다 학교가 학사 운영방안을 조율하도록 2주간의 준비기간을 줬던 전례도 고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경우 새 학교 밀집도 기준이 마련되더라도 11월 초에 즉시 적용하기는 어렵게 된다.

마스크 착용이나 교실 내 거리두기, 시차 급식 등 학교의 방역 지침이 얼마나 완화될지도 미지수다. 교육부 관계자는 “마스크 착용은 가장 마지막까지 지켜야 할 방역수칙으로 보고 있다”면서 “교실 내 거리두기도 기존 지침에서 크게 변경할 부분은 없을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교육부는 모둠활동이나 교외 체험학습 등 그간 제약을 받았던 비교과 활동을 단계적으로 정상화하겠다는 입장이나, 교실 내 거리두기와 같은 방역 지침을 유지할 경우 다양한 활동을 활성화하기 어렵지 않겠냐는 회의론도 나온다.

지난 5일부터 실시되고 있는 소아·청소년 코로나19 백신 접종의 예약율은 지난 24일을 기준으로 16~17세는 60.9%, 12~15세는 21.4%을 기록했다. 다만 교육부는 소아·청소년 백신 접종율을 등교 확대와 연계하지는 않겠다는 입장이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