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풍 마이삭 한반도 상륙 앞두고 안전관리 비상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제9호 태풍 ‘마이삭’이 제주도에 가까워짐에 따라 2일 오전 9시를 기해 태풍 위기경보를 최고 단계인 ‘심각’으로 격상하고 중대본 비상대응 수위도 가장 높은 3단계를 발령했다고 밝혔다.![지난 8월 3일 충남 아산 송악 유곡에서 토사가 주택을 덮쳐 1명이 숨지고 1명이 실종됐으며 주택 2동이 피해를 입었다. 산림청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0/09/02/SSI_20200902141813_O2.jpg)
![지난 8월 3일 충남 아산 송악 유곡에서 토사가 주택을 덮쳐 1명이 숨지고 1명이 실종됐으며 주택 2동이 피해를 입었다. 산림청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0/09/02/SSI_20200902141813.jpg)
지난 8월 3일 충남 아산 송악 유곡에서 토사가 주택을 덮쳐 1명이 숨지고 1명이 실종됐으며 주택 2동이 피해를 입었다. 산림청 제공
중대본부장인 진영 행정안전부 장관은 “전 부처와 지방자치단체는 ‘심각’ 단계에 상응하는 대응 태세와 비상체계를 가동하고 ‘인명피해 제로, 재산피해 최소화’를 위해 인력·장비·물자 동원이 이뤄지도록 해달라”고 당부했다.
산림청은 이날 오후 5시를 기해 전국 17개 시·도의 산사태 위기 경보를 ‘심각’으로 상향 발령했다. 지난달 8일 사상 최초로 ‘심각’이 발령된 후 2번째 조치다.
마이삭이 한반도에 가까워지면서 태풍의 간접 영향권에 든데다 태풍 북쪽에 형성된 구름으로 강우가 시작되면서 산사태 발생 위험이 높아졌다. 이에 따라 산사태예방지원본부를 가동해 산사태 예보와 호우 상황에 따라 선제적으로 주민 대피 및 산사태 응급복구를 지원할 예정이다. 한편 국립산림과학원이 올해 장마 기간에 산불 피해지와 잘 보전된 숲을 대상으로 토사유출량을 비교 분석한 결과 훼손된 숲의 토사유출이 85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전된 숲의 토사유출량이 27.5㎏/㏊인 반면 숲이 거의 없는 산의 토사유출량은 2340㎏/㏊에 달했다.
대전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