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 북이면 소각시설 주민건강 영향 추가 조사

청주 북이면 소각시설 주민건강 영향 추가 조사

박승기 기자
박승기 기자
입력 2021-07-20 16:34
업데이트 2021-07-20 16: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환경부, 주민 암 발병 논란 고려해 5년간 진행

소각시설 집중에 따른 주민 암 발병 논란이 끊이지 않는 충북 청주 북이면 주민들에 대한 추가 조사가 이뤄진다.
환경부는 주민 암 발병과 관련해 논란이 끊이질 않는 충북 청주 북이면 소각시설 주변 지역에 대한 건강 영향에 대한 추가 보완 조사를 올해 9월부터 5년간 연차별로 추진한다. 정부세종청사 환경부 전경. 서울신문 DB
환경부는 주민 암 발병과 관련해 논란이 끊이질 않는 충북 청주 북이면 소각시설 주변 지역에 대한 건강 영향에 대한 추가 보완 조사를 올해 9월부터 5년간 연차별로 추진한다. 정부세종청사 환경부 전경. 서울신문 DB
환경부는 20일 북이면 소각시설이 주변 지역 주민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추가 보완 조사를 올해 9월부터 5년간 연차별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충북대 산학협력단이 2019년 12~2020년 12월까지 시행한 주민건강영향조사에서는 암 발병을 비롯해 주민들이 제기하는 건강 피해의 원인이 명확히 규명되지 않은 데 따른 후속 조치다.

앞선 조사에서 다이옥신 등 소각시설에서 배출한 오염물질이 배출허용기준보다 낮은 수준 등으로 나타나면서 주민들의 건강 피해가 소각시설에 의한 것으로 보기에는 부족하다는 결론이 나왔다.

환경부는 주민 건강 피해 원인을 명확하게 밝히지 못한 선행 조사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소각시설뿐 아니라 산업단지, 폐광산 등 다양한 영향 요인을 조사키로 했다. 조사 대상 오염원을 확대해 선행조사에서 주민 생체(소변) 중 높게 나타난 유해물질(카드뮴·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의 원인 등도 규명한다. 또 2018년부터 5년간의 암 발생 자료를 통해 이 지역의 소각장 소각용량이 급격히 증가한 2007년 이후 10년간 소각시설이 주민건강에 미쳤을 영향도 분석할 예정이다. 소각장 및 주요 대기배출시설의 유해물질 배출 특성과 대기 및 토양 중의 유해물질 현황도 지속적으로 조사하기로 했다.

추가 조사에는 국립환경과학원·청주시 등 관련 기관과 주민대표, 지역 시민단체, 전문가 등이 민관합동환경개선협의체를 구성해 조사 설계부터 참여해 조사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높일 계획이다. 박용규 환경부 환경보건국장은 “추가조사는 주민들의 건강피해 원인을 과학적으로 규명하는 데 초점을 맞춰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