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공공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30.3% 감축

지난해 공공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30.3% 감축

박승기 기자
박승기 기자
입력 2021-08-22 13:51
업데이트 2021-08-22 13: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환경부, 적용대상 783개 379만t 배출 분석
2020년 기준배출량대비 30% 감축목표 달성

지난해 공공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이 기준배출량(2007~2009년 평균 배출량) 대비 30.3% 감축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는 22일 지난해 공공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이 기준배출량(2007~2009년 평균 배출량) 대비 30.3% 감축해 감축 목표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정부세종청사 환경부 전경. 서울신문 DB
환경부는 22일 지난해 공공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이 기준배출량(2007~2009년 평균 배출량) 대비 30.3% 감축해 감축 목표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정부세종청사 환경부 전경. 서울신문 DB
환경부는 22일 공공부문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제 적용 대상인 783개 기관의 지난해 온실가스 배출량이 370만t(이산화탄소 상당량)으로 기준배출량(531만t)과 비교해 161만t을 감축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도 감축률인 23.5%보다 6.8%p를 추가 감축한 것으로, 공공부문 목표관리제 2020년까지 감축목표인 30%를 달성했다고 덧붙였다.

공공부문 목표관리제는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에 따라 공공부문이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에 선도적 역할을 하기 위한 것으로 2011년부터 시행 중이다. 기준배출량을 기준으로 지난해 감축률은 지방공사·공단(40.0%)이 가장 높았고 지방자치단체(34.7%), 국·공립대(34.1%), 공공기관(30.3%), 시·도교육청(24.1%), 중앙행정기관(20.9%), 국립대병원·치과병원(7.4%)이 뒤를 이었다.

온실가스 연간 배출량이 1만t 이상 기관 중에서는 한국방송통신대(64.7%), 한국체육산업개발(58.7%), 남양주도시공사(56.8%), 인천시(55.4%) 등의 감축 성과가 높았다. 온실가스 감축 수단은 고효율 기기 보급(34만t), 신재생에너지 보급(43만t), 친환경 차량 교체(3만t) 및 기타 리모델링·행태 개선 등(58만t)으로 분석됐다. 탄소포인트제와 외부감축사업을 활용해 23만t을 추가 감축했다.

정부는 공공부문 목표관리제의 2020년 감축 목표 달성에 따라 2030년까지 기준 배출량의 50%를 감축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목표관리제 적용 기관을 대상으로 맞춤형 지원이 가능한 ‘공공부문 탄소중립 지원시스템’을 구축한다. 또 감축 성과가 미흡한 기관은 전문기관 진단 후 시설 개선 등 사후관리를 지속적으로 추진하는 한편 11월 운영성과대회를 열어 각 기관별 모범사례를 공유·확산하기로 했다.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