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재억 기자의 건강노트] 낙지

[심재억 기자의 건강노트] 낙지

입력 2010-10-11 00:00
수정 2010-10-11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세 발낙지야 워낙 크기가 쥐눈만 하니 따로 먹통이니 뭐니 가를 것도 없이 한입에 해치우지만 덩치가 큰 대발낙지는 그렇지 않습니다. 큰 놈은 덩치가 커서 제법 묵직하고, 그런 만큼 머리통도 주먹만 합니다. 낙지 맛 좀 안다는 사람들은 이 머릿속 내장을 결코 버리지 않습니다. 칼칼한 맛을 즐기는 사람들은 연포탕을 끓일 때 내장을 뺀 낙지를 넣긴 합니다. 낙지국과 달리 연포탕은 국물이 맑은 게 맛도 시원하고 격도 있어 뵈니까요.

그렇다고 들어낸 낙지 내장을 버리는 건 아닙니다. 이거 버리는 사람 갯가에서는 ‘촌뜨기’ 취급당하기 십상이지요. 민어회 먹고 남은 서덜을 버리는 것과 다를 바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갯가 횟집에서는 “민어회 먹고 서덜탕 안 챙기는 놈은 바가지 써도 싸다.”며 키득거리기도 합니다. 낙지도 그렇습니다. 그 내장을 석쇠에 올려 잔불에 꼬득꼬득 구우면 여간 구수하지 않습니다. 예전에는 이렇게 구운 낙지속을 왕소금에 똑, 찍어 한입 넣고는 “낙지 한 마리 먹었다.”며 입가를 훔치곤 했습니다.

한동안 낙지가 화제였습니다. 서울시가 검사했더니 낙지 내장에서 카드뮴이 왕창 나왔다는 건데, 이를 식약청이 뒤집었지요. 식약청은 “낙지든 문어든 평생 먹어도 아무 탈 없으니 걱정 말고 먹으라.”고 공표했습니다. 저도 낙지 꽤나 좋아하는데, 여태 낙지 먹고 탈 난 사람 본 적이 없습니다. 더위 먹은 소가 벌떡 일어날 만큼 예전부터 스태미나식으로 알려진 데도 까닭이 있습니다. 낙지에는 양질의 아미노산인 타우린과 히스티딘은 물론 좋은 콜레스테롤까지 듬뿍 들어 있기 때문이지요. 한동안 풀이 죽었을 식도락가들, 오늘 낙지로 입맛 한번 돋우는 건 어떨까요.

jeshim@seoul.co.kr

2010-10-11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