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류섭취와 성욕, 상관관계 알아보니…


농경민족의 숙원인 ‘단백질에 대한 열망’은 육류의 기대효과까지 부풀려 고기가 곧 정력이라고 맹신하기에 이르렀고, 그래선지 요즘도 고깃집에 자리를 잡으면 목구멍에서 된트림이 나올 때까지 줄창 먹어대는 광경을 어렵잖게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성욕이 쇠고기, 돼지고기만으로 해결되는 문제가 아니라는 점을 알아야 합니다. 그보다 성욕은 호르몬의 역할이 결정적입니다.
인체에 작용하는 수백가지의 호르몬 중에서 성욕과 관련된 호르몬은 ‘에스트로겐’ ‘테스토스테론’ ‘프로게스테론’ 세 가지입니다. 물론 성호르몬에 대한 의학적 견해가 종종 바뀌지만, 이 호르몬이 종족을 보존하는 원천적인 힘이라는 점은 확실합니다. 종족 보존이란 2세를 생산하는 일이고, 2세를 생산하는 일은 성욕이라는 본능적 욕구와 연동되는 일입니다.
그러니 종족 보존과 성욕이 인과관계에 있음을 간파하기는 쉬운 일이지요. 만약 성적 능력이 오로지 고기로만 해결된다면 고민할 사람이 어딨겠습니까. 비뇨기과 의사들 다 손 놔야지요. 사실, 성욕의 문제는 그리 간단하지 않습니다. 운동은 기본이고, 고기뿐 아니라 식사도 잘해야 합니다. 그러나 성적 능력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건은 역시 성호르몬입니다.
아무리 힘이 넘쳐도 호르몬이 작용하지 않으면 ‘되는 일’이 없으니까요. 이처럼 호르몬은 꼭 필요하지만 과잉의 부작용도 무섭습니다. 그러니 ‘문제’가 있다면 고기에만 집착하지 말고 한번쯤 의사를 만나보세요. 의사들에게 당신이 갈구하는 ‘정력’의 해답이 있으니까요.
jeshim@seoul.co.kr
2011-11-28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